반응형

쵸빗매크로 60

[2022.12.22(목)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22(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376.48(+1.60%) S&P500 : 3,878.44(+1.49%) 나스닥 : 10,709.37(+1.54%)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7.32(-0.21%) / 시간외 지수 57.32(0%)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3,409.0(+0.10%) US500 : 3,883.4(+0.13%) US Tech 100 : 11,245.4(+0.08%) US 2000 : 1,785.4(+0.62%) 국 증시는 수요일 소비자 신뢰도 상승과 예상보다 나은 실적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국채 수익률은 일본중앙은행..

[2022.12.21(수)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21(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849.74(+0.28%) S&P500 : 3,821.62(+0.10%) 나스닥 : 10,547.11(+0.01%)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7.44(+1.39%) / 시간외 지수 57.28(-0.28%)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2,950.1(+0.31%) US500 : 3,829.7(+0.21%) US Tech 100 : 11,106.3(+0.31%) US 2000 : 1,756.3(+0.34%) 불안정한 세션 동안 미국 주식은 손익 사이에서 등락했으며, 기술주는 지난주 매파적인 중앙 은행 전환에..

주식 정보방 2022.12.21

[2022.12.20(화)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20(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757.54(-0.49%) S&P500 : 3,817.66(-0.90%) 나스닥 : 10,546.03(-1.49%)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6.65(+0.60%) / 시간외 지수 56.59(-0.11%)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2,728.5(-0.58%) US500 : 3,813.9(-1.00%) US Tech 100 : 11,080.0(-1.46%) US 2000 : 1,742.8(-1.21%) 미 증시는 트레이더들이 인플레이션이 유의미하게 하락하고 있다고 확신할 때까지 금리를 계속 인상하겠다는..

[2022.12.19(월)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19(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920.46(-0.85%) S&P500 : 3,852.36(-1.11%) 나스닥 : 10,705.41(-0.97%)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6.31(+1.46%) / 시간외 지수 56.31(+0%)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2,856.0(-1.04%) US500 : 3,844.1(-1.33%) US Tech 100 : 11,214.1(-1.16%) US 2000 : 1,767.5(-0.22%) 미국 주식은 9월 이후 가장 긴 주간 손실을 보였으며, 투자자들은 금리를 계속 인상하려는 연준의 결정이 경..

[2022.12.16(금)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16(금)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202.22(-2.25%) S&P500 : 3,895.75(-2.49%) 나스닥 : 10,810.53(-3.23%)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5.50(-4.33%) / 시간외 지수 55.50(+0%)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3,184.5(-0.05%) US500 : 3,894.6(-0.05%) US Tech 100 : 11,352.4(+0.06%) US 2000 : 1,780.7(+0.53%) 미증시는 예상치 하회한 소매판매지수의 경계침체를 우려하고, 또한 실업청구건수의 예상치 하회로 여전히 높은 ..

[2022.12.15(목)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15(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966.35(-0.42%) S&P500 : 3,995.32(-0.61%) 나스닥 : 11,170.89(-0.76%)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8.01(-0.41%) / 시간외 지수 58.13(+0.21%)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4,040.2(-0.20%) US500 : 4,005.2(-0.36%) US Tech 100 : 11,766.5(-0.57%) US 2000 : 1,833.5(-0.12%) 미국 증시는 장중 급락이 나오는 부분이 금리 점도표에서 내년 최종 금리가 5.1%를 예측했는데 그 보..

[2022.12.14(수)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14(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4,108.64(+0.30%) S&P500 : 4,019.65(+0.73%) 나스닥 : 11,256.81(+1.02%)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8.25(+1.30%) / 시간외 지수 58.35(+0.17%)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4,110.7(+0.31%) US500 : 4,019.3(+0.72%) US Tech 100 : 11,828.6(+1.04%) US 2000 : 1,841.3(+1.30%) 화요일 미 증시는 미국 CPI지수가 예상대비 하회를 보이며 장 시작전에 3% 이상 크게 상승하였다가 ..

[2022.12.13(화)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13(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005.04(+1.58%) S&P500 : 3,990.56(+1.43%) 나스닥 : 11,143.74(+1.26%)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8.20(+0.28%) / 시간외 지수 58.20(0%)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3,959.6(+1.44%) US500 : 3,984.7(+1.28%) US Tech 100 : 11,687.8(+1.08%) US 2000 : 1,825.0(+1.34%) 투자자들이 화요일 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를 기대하며 미국 증시는 상승했습니다. 미국 국채 가격은 월요일 하락..

[2022.12.12(월)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2.12(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476.46(-0.90%) S&P500 : 3,934.38(-0.73%) 나스닥 : 11,004.620(0.70%)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8.04(+0.73%) / 시간외 지수 57.93(-0.19%)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3,457.6(-0.96%) US500 : 3,929.7(-0.85%) US Tech 100 : 11,545.2(-0.79%) US 2000 : 1,791.2(-1.25%) 연준의 결정을 불과 며칠 앞두고 경기 침체 공포가 다시 나타나고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를 기록..

쵸빗의 월간 증시 리포팅(증시 11월 마감, 12월 주요 일정 확인)

10월에 비해 부진한 11월 마감과 12월 산태 랠리에 대한 기대감과 주요 일정 국내 주식은 10월에 큰 반등을 보여주었지만, 11월 할달 간은 국내외 주식 모두 부진한 한달을 보여주며 박스권에서의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11월 한 달 간 미국 다우존스 -5.4%, 나스닥 -4.2%, S&P500 -5.1%를 한국 KOSPI -5.7%, KOSDAQ -4.4%가 되었습니다. 11월 1일 10월 우리나라 무역수지 잠정 짐계치 발표가 있었으며, 수출 524.8억 달러를 수입 591.8억 달러로 약 67억 달러의 적자를 보였습니다. 지난 9월에는 16.1억 흑자를 보였지만 달러 강세 등 영향으로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1월 17일 11월 10일 옵션 만기일로 지수가 하락 마감 하였지만, 미국 CPI 지수가 ..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