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정보방/매크로 지표 분석 9

24년 5월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24년 5월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 정책결정-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짐-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 현재의 긴축 기조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대외경제 여건- 세계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는 중- 주요국가별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는 차별화되는 모습-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와 폭에 대한 기대 변화에 따라 주요국 국채 금리와 미 달러화 지수가 상승하였다가 반락-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

24년 3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방안 검토

[24년 3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 -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높은 수준 - 주요국 통화정책과 환율 변동성,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양상 등 불확실성 여전히 큼 ▶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 전망 -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주요국별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는 차별화되는 모습 -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국채 금리 상승, 미 달러 강세 -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양상,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상황 등에 영향 받을 것으로 예상 ▶ 국내 경제는 수출 중심 개선 흐름 - 취업자 수 증가세 - IT 경기 호조에 따른 수출 증가세가 예상..

BOJ통화정책 이후 매크로 변화에 따른 투자 방안 고찰

BOJ통화정책 이후 매크로 변화 ㅡ 단기 변동성나오지만, FOMC 이후 좋아질 것 1.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 발표 일본은행이 금리 정책에 조금씩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하고, 기존의 -0.1%에서 0.0~0.1%로 10bp의 인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추가 인상에 대한 명확한 가이던스는 아직 없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추후에 추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YCC(이자율 곡선 조정) 정책 폐지 공식화 일본은행은 YCC(이자율 곡선 조정) 정책의 폐지를 공식화했습니다. 이는 10년물 수익률 목표치를 제거하고, 초과지준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0.1% 금리를 적용하게 됩니다. 3.국채 매입 규모는 유지되나 일부 조정 예정 국채 매입 규모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되,..

매크로 경제 지표 전망 분석(모건 스탠리 글로벌 보고서) - 3(최종)

저번 2편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고, 모건 스탠리에서 지금 경기 침체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제는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혹시 전편을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보시고 오시면 좋을 듯 합니다. https://korimhjs.tistory.com/267 이 부분에 대해서 골드만삭스는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 기간 프리미엄이 장기 평균보다 훨씬 낮다. 위 그래프를 보면 10년물 기간 프리미엄이 2012년도 이후부터 평균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했고, 지금은 훨씬 낮은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장기금리의 기간 프리미엄이 현재 낮은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뉴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이며 전 연준의장 이..

매크로 경제 지표 전망 분석(모건 스탠리 글로벌 보고서) - 2

저번 1편에서는 현재 미국의 성장율, 실업율,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지금 시점에서 코로나 이후 지속되고 있는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해서 '기대 이론'을 통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전편을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보시고 오시면 좋을 듯 합니다. https://korimhjs.tistory.com/266 그리고 추가적으로 아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채권 금리와 가격간의 상관관계를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금리와 가격간의 관계는 역상관관계에 있습니다. 즉, 채권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내리고, 채권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오릅니다. 그 이유는 채권을 사려는 사람들이 시장에 많아지면 공급/수요에 따라 그 가격은 오르게 되고, 이는 작은 이율에도 충분히 현 시점..

매크로 경제 지표 전망 분석(모건 스탠리 글로벌 보고서) - 1

오늘은 현재 경제 정세와 시장 상황이 어디로 가고 있고, 현재 어디쯤에 있으며, 앞으로 어디로 가려고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찾아보고 확인해봐야 하는 매크로 지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골드만 삭스의 글로벌 뷰의 자료를 포함한 자유지성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1. 미국 GDP 성장률 : 2.4% 전망 2. OECD CCI (소비자심리 지수) : 급격히 반등 3. 실업률 : 3.6%까지 하락 현재 미국 2분기 성장률이 2.3%를 기록할 것이 전망되고 있고, 소비자 심리는 급격히 반등하였으며, 실업률은 3.6%까지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2년에 모건스탠리가 2023년 미국 GDP가 마이너스 GDP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던 상황과는 다른 국면입니다. 미국 총 건설 지출(To..

쵸빗의 월간 증시 리포팅(증시 11월 마감, 12월 주요 일정 확인)

10월에 비해 부진한 11월 마감과 12월 산태 랠리에 대한 기대감과 주요 일정 국내 주식은 10월에 큰 반등을 보여주었지만, 11월 할달 간은 국내외 주식 모두 부진한 한달을 보여주며 박스권에서의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11월 한 달 간 미국 다우존스 -5.4%, 나스닥 -4.2%, S&P500 -5.1%를 한국 KOSPI -5.7%, KOSDAQ -4.4%가 되었습니다. 11월 1일 10월 우리나라 무역수지 잠정 짐계치 발표가 있었으며, 수출 524.8억 달러를 수입 591.8억 달러로 약 67억 달러의 적자를 보였습니다. 지난 9월에는 16.1억 흑자를 보였지만 달러 강세 등 영향으로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1월 17일 11월 10일 옵션 만기일로 지수가 하락 마감 하였지만, 미국 CPI 지수가 ..

환율에 따른 글로벌 시장 리스크

현재 달러 강세로 인한 아시아 시장에서의 환율 가격이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영국 트러스 전 총리가 감세안 정책 발표 후 영국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면서 (채권 가격 폭락) 달러/파운드 가격이 페러티 달러(파운드=달러)무너지는 걸 목격했고 이는 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걸 보았습니다. 이에 대한 문제로 결국 트러스 총리는 사임을 했죠. 그 만큼 환율은 국가의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것과 더불어 글로벌 시장에 위기를 줄 수 있는데요. 현재 달러 지수를 보시면 1년동안 계속 상세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같은 원자재를 대량으로 수입하는 국가는 환율이 경제에 끼지는 여향이 더 클 수 있는데요. 달러/위안화 환율이 7위안 이상 올라가게 된다면 수입품 가격 상승에 따른..

한국 주식 시장의 현주소와 조선업 투자 전망

#한국주식 #KOSPI #현재 주식 시황 #조선업투자 #현대미포조선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국조선해양 [이 글은 투자에 대해 추천하거나 종목 추천이 아닌 공부를 위함을 알려드리며, 모든 투자의 결과는 스스로 책임을 져야함을 엄숙히 말씀드립니다] 코로나 이후 전세계 증시는 엄청난 양적 안화를 통한 시장에 자금 유입으로 어려운 시기 속에서도 증시는 크게 상승하며, 모든 자산 인플레이션이 먼저 동반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2021년에 투자의 시장에 뛰어 들었고, 개인들의 시장 매수세와 잔고는 역대급을 찍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이 오고 연준의 빅스텝을 통한 급격한 금리인상과 전쟁의 다툼, 코로나로 인한 중국의 봉쇄정책이 맞물려 재고 자산의 증가, 금리 인상에 따른 기업의 펀더멘털 회손, 경기침체 우려와 ..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