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매크로 지표 분석

24년 5월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쵸빗 2024. 5. 23. 11:56
반응형

24년 5월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 정책결정
-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
-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짐
-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
- 현재의 긴축 기조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 대외경제 여건
- 세계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는 중
- 주요국가별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는 차별화되는 모습
-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와 폭에 대한 기대 변화에 따라 주요국 국채 금리와 미 달러화 지수가 상승하였다가 반락
-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양상,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전망

▶ 실물경기
- 국내경제는 1분기중 수출 호조 이어지는 중
- 소비와 건설투자 부진 완화되면서 성장률 예상치 상회
- 견조한 취업자수 증가세로 고용 시장 양호
- 국내 경제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분기 중 조정되었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 예상
- 금년 중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2.1%)를 상회하는 2.5%로 전망
- 향후 성장경로는 IT경기 확장 속도,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

▶ 물가
- 4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개인서비스 및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 둔화 등으로 2.9%로 낮아짐
- 근원물가 상승률은 2.3%로 둔화
- 5월 중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 3.2%로 높아짐
-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으로 상방 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영향이 크지 않을 것
- 금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2.6%, 근원물가 상승률 2.2 예상
- 물가경로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영향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 금융안정
- 장기 국고채 금리가 국내외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에 따라 상승하였다가 반락
- 미 달러화 및 엔화 등 주변국 통화 흐름,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은 높은 수준에서 상당폭 등락
- 주택관련대출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
- 주택가격은 대체로 하락세
-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 잠재

👉 향후 정책 방향
-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운용
- 국내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되고 물가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
-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 충분히 유지할 것
- 인플레이션 둔화 및 성장세 개선 흐름,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 양상을 면밀히 점검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