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매크로 지표 분석

24년 3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방안 검토

쵸빗 2024. 4. 12. 11:05
반응형

 

 

[24년 3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

-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높은 수준
- 주요국 통화정책과 환율 변동성,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양상 등 불확실성 여전히 큼

 

▶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 전망

-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주요국별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는 차별화되는 모습
-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국채 금리 상승, 미 달러 강세
-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양상,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상황 등에 영향 받을 것으로 예상

 

▶ 국내 경제는 수출 중심 개선 흐름

- 취업자 수 증가세
- IT 경기 호조에 따른 수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확대될 것
- 금년 성장률은 2월 전망치인 2.1%에 부합하거나 상회할 가능성
- 향후 성장경로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IT경기 개선 속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에 영향을 받을 것

 

👉 향후 방향

- 국내 경제 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근원물가 승승률 둔화 추세 이어질 것
- 소비자 물가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 충분히 유지할 것
-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금융안정과 성장 측명의 리스크,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양상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

 

(코멘트)

현재 우리나라 뿐아니라 각국의 금리 상황은 대부분 동결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올해에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를 상반기에 기대 했으나 현재는 기대감이 없어지고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만 염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국채수익률은 재차 크게 상승하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상승을 보이는 추세를 나타내려고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고금리에 계속 부채가 문제가 되는 기업은 피하고 실적 향상 추이가 예상되는 업황이나 실적이 실제 잘 나오는 우량 기업 위주로 포트폴리오 구성이 되어 있어야 하겠습니다. 

현재 주가 측면에서도 그런 기업의 위주로만 수급이 들어와 상승하고 아닌 기업인 경우에는 주가의 하락과 지지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추가로 매수 하더라도 더 긴 시계열로 종목을 체크하며 올 한해 고금리 상황과 향후 경제 충격이 있을 수도 있는 상황을 대비하며 충분한 현금 확보와 레버리지를 축소하며 우량한 기업,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 실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산업군과 정부 정책의 수혜나 방향성에 포진하며 준비 되어 있는 기업, 향후 금리 인하와 더불어 화폐가치 하락에 햇징 할 수 있는 상품에 일부 투자하며 지금의 어려운 시기를 견뎌내는 기회로 삼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투자는 어려운 상황을 견디고 문제점을 해결하고 악재에 대응하며 그 시기를 이겨낸 사람만이 과실을 먹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함께 좋은 결실을 맛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