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 126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9(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9(수)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상승마감하며, 1년3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오늘 특징으로는 주요 금융기관들의 실적 대부분 예상치 상회하면서 뱅크오브아메리카와 모건스탠리 등 대형은행들의 큰 폭 상승을 보였습니다. 경제지표 발표로는 소매판매가 0.2%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소비 지출은 여전히 좋은 가운데 산업생산은 두달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연준의 과도한 긴축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시장은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전일 한국 증시는 코스피 하락과 코스닥의 상승으로 지수간 엇갈리며 코스피는 2일 연속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이는 중국의 2분기 성장률 시장전망이 하회하고 6월 지표가 부진한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반대로 코스닥의 상승은 2차..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8(화)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8(화)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전일 미국 증시는 보합권에 시작했지만 장중 꾸준히 소폭 상승을 보이다가 마감하였습니다. 미국 반도체협회가 대중국 수출제한 공개 반대를 발표하며 반도체 강세를 보이며 필라델피아 반도체가 2% 상승을 하며 엔비디아 52주 신고가를 찍었습니다. 그리고 전일 중국 및 유럽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왔습니다. 전주 한국 증시는 비차익 프로그램 매물이 나오며 소폭 하락 출발하며 장중 내내 등락을 반복했습니다. 중국 경기지표 부진으로 상해 지수가 하락하며 매크로 시황 부담으로 하락을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이슈가 부각된 반도체 장비, 부품주가 강세가 지속되며 일부 고점 매물 소화 여부에 따라 종목별 차별 장세를 보였습니다. 이번주 주요 이벤트로..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7(월)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7(월)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전주 미국 증시는 나스닥, S&P500은 올해 지속적인 강세를 보였으나 소폭 하락하였고. 다우는 소폭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월간 2월 한달만 하락) 매크로 경제지표 중 6월 CPI, PPI 둔화를 보이며 달러인덱스와 국체수익률은 하락으로 3대 지수 상승을 불러온 한주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아래로 하락하였습니다. 전주 한국 증시는 개인 -2.3조 / 외국인 +1.16조 / 기관 +1.28조 를 보였고, 지난 주 저점 2,517P에서 상승 추세 하단 지지 후 반등을 보였습니다. 종목으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주간 5%대 상승을 보이며 반도체 후공정 급등 및 일부 종목으로 매수세가 확산 되었습니다..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4(금)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4(금)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전일 CPI 둔화 발표 후 긴축 우려 감소하면서 PPI가 전년비 +0.1%로 나타나며 추가로 안도감으로 달러인덱스와 국채수익률의 추가 하락을 보였습니다. 그 이후 블러드 연은 총재가 연준을 떠난다는 소식과 함께 증시는 급상승을 보이며 모든 지수가 상승 마감 했습니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간담회를 가지며 규제에서 지원으로 방향을 전환했습니다. 많은 빅테크가 상승을 보인 가운데 특히 요즘 구글과 엔비디아가 4% 이상 크게 상승을 보였습니다. 전일 한국시장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로 동결을 발표하였고, 갭 상승 후 큰 변동성 없이 강세 유지하였습니다. 특히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며, 반도체, 셀트리..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3(목)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3(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CPI 둔화를 확인함과 동시에 갭 상승 출발하였고 이후 상승 폭을 둔화하며 마감하였습니다. CPI 예상치 하회하는 발표로 인플레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고 채권 수익률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지수/위안화 환율도 약세를 보이며, 원자재 가격은 전체적으로 상승을 하였습니다. 현재 나스닥과 S&P500은 22년 4월 이후 최고지수를 경신했습니다. 전일 한국시장은 보합권에 출발하다 이후 등락을하면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은 선/현물 매수하였고, 기관도 매수로 플러스를 유지하였습니다. 어제는 상대적으로 반도체 강세(두산테스나, ISC 등) / 이차전지 약세(에코프/비엠 각 -5%대 하락)였습니다. 이차..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2(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2(수)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강보합 시작 후 장중 등락을 반복하다 장 후반부에 상승 마감 했습니다. 전일 인플레 둔화 기대의 지표들로 반등했다고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내일 발표될 CPI는 3% 초반을 기대하는 가운데 이번 주 후반 실적 발표 될 은행주들이 1~2% 정도 상승하였습니다. 빅테크 종목은 소폭 상승했으나 메타는 '스레드'의 영향으로 연일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전일 한국시장은 코스피 연속 하락 후 6거래일만에 반등을 보였습니다. 이는 올해 형성된 상승 추세 하단을 지지하며 75~80일봉선이 지지선으로 작용하는 듯합니다. 어제는 위안화의 영향으로 원화 환율 또한 1% 가까이 하락하며 장중 1,290원을 보이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1(화)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1(화)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3일 연속 하락 후 반등을 하였습니다. 뉴욕 연은 1년 기대인플레는 3.8%로 하락하면서 3개월 연속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고차 가격 지수도 전월비 -4.2% 하락했고, 고용동향 지수도 전월비 -1.1% 하락했습니다. 이에 CPI 발표를 앞두고 소폭 안도감을 보였고 국채수익률 및 환율 하락했습니다. 오늘은 반도체가 강세였습니다. 전일 한국시장은 지난 주 하락 분위기가 연장되고 있으나 외국인, 기관 매도 규모가 줄어들며 종목별로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양상입니다. 에코프로는 장중 100만원 상향 돌파도 보여주며 아직 2차전지 강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섹터 전체적으로 상승세 확산은 제한적이였습니다. 이번 폴란드 경제 사..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0(월)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10(월)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전주 미국 증시는 7월 첫주 첫날 상승 후 연속 하락을 보였습니다. ADP 6월 민간고용보고서는 서프라이즈로 상회 발표하며 2년물 국채 수익률은 장중 5.1% 상승하며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금리 인상에 대한 가능성이 커졌다고 판단 할 수 있겠습니다. 중국의 갈륨, 게르마늄 수출 제한은 미중 갈등 격화를 우려하며 반도체 관련하여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방중 관련해서 주요 의제로는 반도체 제재, 중국 반간첩법, 고율관세, 개도국 부채 탕감, 금융/재정적 협력, 기후 협력 등이 있었습니다. 미국의 중국 투자 규제 범위는 이달 중으로 발표 예정이나 작년보다는 좁을 것이라고 옐런 장관은 발언하고, 하지만 안..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6(목)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6(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전고점에서 소폭 등락을 반복하다 하락 마감했습니다. FOMC 의사록에서는 연착륙을 전망하면서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는 발언을 하였습니다. 현재 중국이 갈륨, 게르마늄 수출을 제한하자 미국 상무부는 이를 비판하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한 하였습니다. 이 부분으로 인해 미중 갈등 격화가 우려되며 이로 인한 향후 이슈가 악재로 시장의 조정을 가져올지 염두해야 겠습니다. 어제 반도체 관련주는 하락을 보였으나 빅테크 종목들은 혼조세 또는 소폭 상승을 보여 강세 유지를 하였습니다. 전일 한국시장은 연 이틀 외국인 선물 대량 매도와 금융투자의 현물 매도로 인해 코스피는 이틀 연속 하락을 하였고, 코스닥은 2차전지(에코프로 등)의 ..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5(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5(수)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독립기념일로 휴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 주식도 혼조세로 약보합 마감했습니다. (독일 -0.26%, 프랑스 -0.23%, 영국 -0.1%, 이탈리아 -0.21%) 독일 수출 부진으로 무역수지 144억 유로를 하였으며, 호주 기준 금리는 동결 하였습니다. (5월 CPI 5.6%, 4월 6.8%) 국내 증시는 외국인, 기관의 매도로 전제척으로 주춤했던 하루였습니다. (외국인 선물 12,800계약 매도 / 프로그램 대도 3,120억) 코스피에 비해 코스닥은 에코프로비엠 +4% 등 2차전지 쪽 선방으로 강보합 마감했습니다. 조선, 조선기자재 / 자동차 부품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현재 이슈별 종목 장세 순환으로 섹터별 대형주에서..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