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11

[2022.10.25(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1,499.62(+1.34%) S&P500 : 3,797.34(+1.19%) 나스닥 : 10,952.61(+0.86%)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49.76(-1.15%) 미국 주식은 주요 기업들의 실적 어닝 메가위크를 맞이한 월요일부터 2거래일 연속 상승했습니다. 특히 월요일 약한 경제 지표가 발표된 후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지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러한 기대감은 제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연설에서 채권시장의 유동성악화를 위기라 표현하며 채권시장 안정화를 위해 20년물 채권에 대한 바이백을 검토하는 등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언한 이후 더..

[2022.10.24(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1,082.56(+2.47%) S&P500 : 3,752.75(+2.37%) 나스닥 : 10,859.72(+2.31%) [한국증시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50.34(+1.61%) / 야간 선물 50.37(+0.06%) 미 국채 폭락이 진정된 옵션만기일인 금요일 미국증시는 6월 이후 최고의 극적인 반전을 기록했습니다. 일본이 통화 지원을 위해 다시 한 번 개입했을 수 있다는 보도 이후 엔화는 상승했습니다. (달러/엔 147.67/-1.55%) 특히 장중 미국 장기채가 급락하면서 엔화가 급등하는 현상이 보였습니다. (저번 시황때 말씀드렸듯이 달러/엔의 150이상에서의 위기 부분을 타개하기 위해서..

[2022.10.21(금)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0,333.59(-0.30%) S&P500 : 3,665.78(-0.80%) 나스닥 : 10,614.84(-0.61%) [한국증시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49.54(-0.02%) / 야간 선물 48.69(-1.72%) 리즈 트러스(Liz Truss) 영국 총리가 44일만에 사임을 결정했습니다. 증시는 이 소식에 랠리를 펼쳤지만, 연준 관리들의 매파적 발언과 스왑 가격이 2023년 5% 피크 정책 금리로 상승하면서 국채 수익률의 상승으로 미국증시는 또 다시 하락마감했습니다. 파운드는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가 사임한 후 하락했습니다. 현재 실적시즌으로 주식은 실적 기대치 이상으로 양호한 편이나 ..

환율에 따른 글로벌 시장 리스크

현재 달러 강세로 인한 아시아 시장에서의 환율 가격이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영국 트러스 전 총리가 감세안 정책 발표 후 영국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면서 (채권 가격 폭락) 달러/파운드 가격이 페러티 달러(파운드=달러)무너지는 걸 목격했고 이는 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걸 보았습니다. 이에 대한 문제로 결국 트러스 총리는 사임을 했죠. 그 만큼 환율은 국가의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것과 더불어 글로벌 시장에 위기를 줄 수 있는데요. 현재 달러 지수를 보시면 1년동안 계속 상세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같은 원자재를 대량으로 수입하는 국가는 환율이 경제에 끼지는 여향이 더 클 수 있는데요. 달러/위안화 환율이 7위안 이상 올라가게 된다면 수입품 가격 상승에 따른..

[2022.10.20(목)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0.20(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0,423.81(-0.33%) S&P500 : 3,695.16(-0.67%) 나스닥 : 10,680.51(-0.85%) [한국증시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49.55(-1.29%) / 야간 선물 49.55(0%) 미증시는 채권시장에서 불안함을 보이며 최근의 반등 후 연속적인 랠리를 중단하며 하락마감했습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수치 상승, 기업 거래 헤지 흐름, 미국 20년 만기 채권 경매 부진 등으로 인해 국채가 다시 매도 압력을 받았습니다. 2년물 수익률은 거래자들이 최고 정책 금리가 현재 3%에서 3.25%로 상승한 5%에 가까워질 것이라는 기..

[2022.10.19(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0,523.80(+1.12%) S&P500 : 3,719.98(+1.14%) 나스닥 : 10,772.40(+0.90%) [한국증시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50.20(+0.12%) / 야간 선물 50.72(+1.04%) 미증시는 장 시작에는 큰 폭으로 갭상승 하여 시작하였으나, 이후 난폭을 줄이며 하락하다가 모든 지수는 소폭 반등하여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MSCI 선물지수 또한 상승하고 있어서 오늘 KOSPI 또한 상승으로 시작할 것 같습니다. S&P500은 9월의 손실을 거의 만회하면서 연속 랠리를 펼쳤습니다. Goldman Sachs는 실적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Apple은 iPhone ..

[2022.10.18(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아침 선물] US30(다우존스) : 30,185.82(+1.86%) US500(S&P500) : 3,677.95(+2.65%) US Tech 100(나스닥) : 10,675.80(+3.43%) [한국증시 아침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50.14(+3.15%) 영국 총리 헌트가 9월 23일 성장 계획에서 발표된 거의 모든 세금 조치를 철회할 것이라고 발효했습니다. 이런 영국의 대규모 재정 부양책이 취소된 것도 투자 심리를 부추키고 본격적인 어닝시즌에 돌입한 월요일 미국증시는 S&P500이 기술적으로 지지를 받고 다른 주요 은행이 견실한 결과를 보고하면서 급격히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기술주 위주의 Nasdaq지수 역시 테슬라, ..

한국 주식 시장의 현주소와 조선업 투자 전망

#한국주식 #KOSPI #현재 주식 시황 #조선업투자 #현대미포조선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국조선해양 [이 글은 투자에 대해 추천하거나 종목 추천이 아닌 공부를 위함을 알려드리며, 모든 투자의 결과는 스스로 책임을 져야함을 엄숙히 말씀드립니다] 코로나 이후 전세계 증시는 엄청난 양적 안화를 통한 시장에 자금 유입으로 어려운 시기 속에서도 증시는 크게 상승하며, 모든 자산 인플레이션이 먼저 동반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2021년에 투자의 시장에 뛰어 들었고, 개인들의 시장 매수세와 잔고는 역대급을 찍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이 오고 연준의 빅스텝을 통한 급격한 금리인상과 전쟁의 다툼, 코로나로 인한 중국의 봉쇄정책이 맞물려 재고 자산의 증가, 금리 인상에 따른 기업의 펀더멘털 회손, 경기침체 우려와 ..

[2022.10.17(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아침 선물] US30(다우존스) : 29,741.8(+0.36%) US500(S&P500) : 3,597.3(+0.40%) US Tech 100(나스닥) : 10,744.6(+0.49%) [한국증시 아침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48.61(-0.98%) / 야간 선물 48.76(+0.31%) 현재 미증시는 금요일 마감에 크게 하락 후 선물은 소폭 반등 중이고, 한국 MSCI 지수를 보면 -1% 정도로 코스피가 하락 시작하겠지만 야간선물이 0.31% 상승으로 소폭 반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국 트러스 내각에서 감세안 사실상 전면 철회를 한다고 발표하면서 달러/파운드 환율(1.118)은 안정세를 찾았지만, 여전히 미국 달..

[2022.10.15(토)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안내] 다우존스 : 29,634.83(-1.34%) 나스닥 : 10,321.38(-3.08%) S&P500 : 3,583.07(-2.37%) 미증시는 미시간 대학 조사에서 10월초에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상승했단 보고서가 나온 후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후 달러는 상승했고, 국채는 하락했습니다. University Michigan Sentiment Prelim Actual 59.8 (예측 58.8 이전 58.6) S&P500은 지수는 2% 이상 하락하면서 당일 저점 부근해서 마감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국채 수익률이 많이 상승함에 따라 빅테크 위주의 하락폭이 커서 -3%의 큰 폭폭의 하락을 보여주었습니다. VIx지수는 32포인..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