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2024.05.30(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쵸빗 2024. 5. 30. 10:04
반응형


2024.05.30(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증시 이번 주는유가 상승과 함께 달러, 국채수익률 상승을 보이며 증시에 하락 압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재무부 국채 지속 발행 이슈)
다우지수는 신고가 후 2주 연속 하락하고 있으며, 나스닥은 엔비디아 및 AI관련 기술주 영향으로 상대적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일 국채수익률 상승의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애플 +0.16%, 테슬라 -0.32%, 엔비디아 +0.81%, MS -0.27%, 마이크론 -0.82%, 인텔 -2.99%, AMD -3.77%,
아마존 -0.07%, 메타 -1.16%, 넷플릭스 +0.87%, 알파벳 -0.28%

(기업 기사 요약)
테슬라 - 아크 인베스트먼트, xAI 지분 매입
애플 - 말레이시아서 첫 매장 개점 예정
알파벳 - 허브스팟 주식 전량 인수 논의 중
우버 - 올림픽 기간 파리서 센 강 크루즈 제공

국내증시는 시작부터 외국인 선물 매도를 보이며 약보합 시작 후 등락을 반복하였습니다. 
이후 선물 하락과 비차익 매도 증가로 낙폭을 확대하며 코스피/코스닥 모두 -1% 이상 하락마감했습니다.
(선물 17,000 계약 매도, 비차익 프로그램 매도 9,507억)
외국인의 갑작스런 대량 매도의 원인으로 삼성전자 파업, 공매도 정책 혼선, 골드만 및 모건스탠리 삼성전자 투자의견이 부정적이라는 기사 등 영향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주)
HBM 관려주 외 전반적인 하락을 하며 2차전지 하락 폭 확대 되었습니다.

[이번 주 주요 이벤트]

 

 

<내일장 체크 포인트>

GDP 잠정치

주간 실업수당청구

코스트코 / 델 실적

 

선물/옵션 만기일이 가까워지고 많은 악재들이 겹치면서 증시의 조정을 다시 보이고 있습니다. 

더욱이 미국의 채권 발행으로 인해 국채수익률이 상승하고 원자재가 상승하는 등 여전한 인플레 상방 압력에 대한 기조로 인해서 증시의 수급은 크기 않는 상황입니다. 이런 지지부진하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진주를 찾을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고

시장을 잘 지켜보며 배워야하는 시기 인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VIX 지수]

CBOE VIX : 14.28( +10.53% )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63.15( -2.44% 

 

[한국 증시 전일 종가]

코스피 : 2,677.20( -1.68% )

코스닥 : 838.46( -1.47% )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8,441.54( -1.06% )

S&P500 : 5,266.95( -0.74% )

나스닥 : 16,920.58( -0.58% )

 

[일간 지표 등락율]

비트코인 $67,715.3/ -0.99%, 이더리움 $3,787.99/ -1.46%

달러인덱스 105.075/ +0.51%, 달러/원 1,369.18/ -0.07% , 달러/엔 157.61/ +0.04%    

금 2,338.00/ +0.05%, 은 32.160/ -0.02%   

필라델피아 반도체 5,219.3/ -1.85%, 천연가스 2.657/ -5.95%, WTI유 79.28/ -0.69%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618/ +1.69% 미국 2년물 국채 금리 4.975/ +0.36%

 

[금일 경제지표 발표]

 

 

 

📝 주요 경제동향 요약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는 가운데, 미국 재무부의 연이은 채권 매각 부진이 채권 가격 하락을 초래하며 주가를 압박했습니다.

 

440억 달러 규모의 7년물 국채는 4.65%에 경매되었으며, 이는 이전 기록인 4.637%를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이는 전일 1,390억 달러 규모의 국채 매각 부진 이후 하루 만에 발생한 일로,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시장을 계속해서 압박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S&P500 지수는 5,300선 아래로 하락했습니다. Nvidia가 선전했지만, 국채금리 상승은 시장에 압박을 가하며 반도체 지수와 Nasdaq100 지수를 하락 마감으로 이끌었습니다.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소매업종은 딕스 스포츠 굿즈와 아베크롬비 앤 피치의 호실적 발표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IT 및 커뮤니케이션 업종도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며 비교적 소폭 하락에 그쳤습니다.

 

아메리칸 항공은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면서 15% 이상 하락했으며, 국채금리 상승세로 인해 리츠와 유틸리티 업종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유가 하락 속에 에너지 업종도 하락했습니다. 주요국 ETF도 대부분 하락 마감했습니다.

장 마감 후 발표된 Salesforce의 실적은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지만,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16%대 하락 중입니다. 반면, HP는 AI PC 기대와 양호한 실적 발표로 시간 외 거래에서 1.5%대 상승 중입니다.

 

장 후반 발표된 Fed의 베이지북은 경제가 확장되었음을 알렸지만, 전망에 대해서는 다소 비관적인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JPMorgan의 제이미 다이먼은 높은 개인부채와 이자 부담이 경제의 연착륙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며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를 이어갔습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7bp 상승한 4.62%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유럽 채권 발행 규모는 종전 기록을 일주일 이상 앞서 1조 유로(1조 1,0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독일 채권 수익률은 인플레이션 가속화로 인해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호주의 최근 인플레이션 수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의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는 지난주보다 5.7%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고, 평균 모기지 이자율은 7%를 상회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2분기 GDP와 PCE 수정치, 실업수당 청구 건수, 주택 판매 데이터 등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국채금리 하락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표 동향

  • VIX지수는 14.28포인트로 급등했으며,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3.09%로 축소되었습니다.
  • 10-2년물 국채금리 스프레드는 -0.357포인트, 10-3개월물은 -0.794포인트로 모두 축소되었습니다.
  • FedWatch는 전일 대비 보수적으로, 소수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 탐욕 & 공포지수는 전일대비 6 하락하며 47(Neutral) 입니다.

 

 

  

[주요 기사 요약]

 

- Bloomberg -

독일 5월 CPI, 전년비 2.8%↑ ···  예상 상회

ECB 위원 "금리인하 천천히 이뤄져야"

미국 5월 리치몬드 제조업지수 0 ··· 전월비 개선

 

- Market Watch -

베이지북 "미국 경제 소폭 확장 ··· 전망은 비관적

미국 7년물 국채입찰 응찰률 2.43배 ··· 수요 부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장중 4.64% ··· 1개월래 최고

 

- Reuters -

코노코필립스, 마라톤오일 225억 달러에 인수

CME 페드워치, 9월 FOMC 금리인하 가능성 45%

골드만 "헤지펀드, M7 보유 비중 역대 최대"

 

 

 

[주요 주요 이슈]

 

1. 금감원장, 공매도 빠른 시일내에 일부 재개

  • 내년 1월, 불법 공매도 탐지 시스템 구축, 중앙에서도 감지 및 차단 구축
  • 내부 시스템으로 80~90% 차단 가능하면 ☞ 일부 공매도 가능성 검토

2. 미국 백악관, 전력망 현대화에 속도 (CNN)

  • 고압선 교체, 환경 영향 평가 간소화 ☞ 연방정부 21개주와 협력 발표
  • "바이든 행정부의 입법 성과와 행정조치를 기반으로 비용 효율적인 전력망 적용을 추진하는 것으로 목표"
  •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에 전력 공급하기 위해 풍력, 태양력 등 신규
  • 발전소 신설 ☞ 노후화된 송배전 교체 중요

3. 샘알트만이 투자한 SMR 기업 '오클로' 데이터센터와 공급 계약

  • 데이터센터 기업 '와이오밍 하이퍼스케일'과 전력 공급 계약

4. 삼성전자 노조 창사이래 첫 파업 선언

 

5. 모건스톤리, SK하이닉스 +33% 추가 상승 전망 (CNBC)

  • 엔비디아발 수혜주 리스트 포함 / 삼성전자는 제외

6. 삼성전자, 6월 미국에서 파운드리 포럼 개최

  • 자사 최신 기술 및 사업 전략 공개 - 27년 예정된 1.4나도 공정 로드맴
  • 'GAA' 기술 활용 방안 ☞ 샌드위치 위기설 탈출구 모색

 
7. 마이크론 차세대 D램 공장 일본에 건설

  • 일본 히로시마현에 건설 (일본 정부 1,920억엔 보조금 지원)
  • 차세대 HBM4E를 위한 제조 시설 ☞ 2027년 양산 목표
  • HBM 시장 진출 D램 빅3중 가장 늦었으나 최근 납품 시작 ☞ 공급량 늘리기 위해 올해 자본지출 $80억으로 상향   

 

미국주식, 환율, 한국경제, 증시각도기, 원자재, 증권, 주식시황, 비트코인, 암호화폐, FOMC, 채권, 달러, 연준, 금리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