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시황 #미국주식 #한국주식 #경제 #멘탈관리 #투자지표 15

[2022.11.09(수)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1.09(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160.83(+1.02%) S&P500 : 3,828.11(+0.56%) 나스닥 : 10,616.20(+0.49%)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5.92(+2.21%) / 시간외 지수 55.92(+0.0%)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3,137.0(+0.94%) US500 : 3,826.7(+0.52%) US Tech 100 : 11,056.5(+0.72%) US 2000 : 1,806.3(-0.18%) 미국 증시는 중간 선거 이후에도 상승을 보여줬던 이력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가운데 주식 시장에 낙관론을 생..

[2022.11.08(화)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1.08(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827.00(+1.31%) S&P500 : 3,806.80(+0.96%) 나스닥 : 10,564.52(+0.85%)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4.71(+1.45%) / 시간외 지수 54.740(+0.05%)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2,807.9(+1.25%) US500 : 3,804.7(+0.91%) US Tech 100 : 10,977.3(+1.11%) US 2000 : 1,806.0(+0.43%) 미국 증시는 중간 선거를 앞둔 기대감으로 소형주와 우량주를 포함한 광범위한 랠리를 보이며 상승했습니다...

[2022.11.02(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147.76(-1.55%) S&P500 : 3,759.69(-2.50%) 나스닥 : 10,524.80(-3.36%)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1.74(-1.84%) / 시간외 지수 51.98(+0.46%) [미증시 선물 지수] US30 : 32,100.8(-0.15%) US500 : 3,751.9(-0.21%) US Tech 100 : 10,885.8(-0.19%) 미증시는 금일 큰 변동성을 보여주며 아직 연준 정책 기조에 따른 변동성이 여전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장시작하고 FOMC 파월의 예상했던 11월 75bp 인상과 금리 속도조절 및 경기 시간차에 있음을 ..

[2022.11.02(수)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1.02(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653.20(-0.24%) S&P500 : 3,856.10(-0.41%) 나스닥 : 10,890.84(-0.89%)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2.71(+1.74%) / 시간외 지수 52.49(-0.42%) 미국 증시는 어제 미국 노동시장에서의 데이터가 아직 견고하다는 발표를 하고 나서 연준의 긴축 정책이 지속될 수 있다는 시장판단으로 소폭 상승하던 증시는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장중 바이든 대통령이 연준의 정책을 찬성한다는 발언으로 증시는 장 후반부까지 우하향 곡선을 보였습니다. S&P500 지수는 미국의 ..

[2022.11.01(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732.95(-0.39%) S&P500 : 3,871.98(-0.75%) 나스닥 : 10,988.15(-1.03%)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1.81(-0.02%) / 시간외 지수 51.81(0%) [미국 선물 지수] US 30 : 32,756.0(+0.07%) US 500 : 3,876.5(+0.12%) US Tech 100 : 11,423.0(+0.15%) 미국 증시는 빅테크 중심으로 하락을 보이며 하락 마감하였지만, 그 중에 다우존스는 10월동안 14% 상승하면서 1976년 이후 최고 월 상승율을 보여줬습니다. 메타가 -6% 이상 급락하며 빅테크 위주로 ..

[2022.10.31(월)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0.31(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이제 10월의 마지막 날이 되었네요. 아침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861.80(+2.59%) S&P500 : 3,901.06(+2.46%) 나스닥 : 11,102.45(+2.87%)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1.82(+0.62) / 시간외 지수 51.87(+0.10%) [미국 선물 지수] US 30 : 32,837.0(-0.08%) US 500 : 3,895.2(-0.15%) US Tech 100 : 11,521.3(-0.22%) 미국 증시는 아마존 실적 악화로 장전 급락한 가격이었으나 호실적을 발표한 Apple의 견인으로 기술주들이 끌어올려..

[2022.10.28(금)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0.28(금)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2,033.28(+0.61%) S&P500 : 3,807.30(-0.61%) 나스닥 : 10,792.67(-1.63%)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1.50(-0.06) / 시간외 지수 51.05(-0.87%) FOMC회의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블랙아웃 기간 동안 각종 경제 데이터와 주요 기업들의 상충되는 수익 보고서를 평가하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 경로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증시는 또 다른 변동성을 견뎌냈습니다. S&P500은 대부분의 세션에서 이익과 손실 사이를 오가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1.6..

[2022.10.27(목)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0.27(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1,839.11(+0.01%) S&P500 : 3,830.60(-0.74%) 나스닥 : 10,970.99(-2.04%)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1.53(+1.84)) / 시간외 지수 51.53(0%) 미 증시는 3거래일 랠리 이후 일일 큰 변동성의 보였는데요. 장 초반에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영향으로 크게 하락했던 지수는 장중에 회복하나 싶었으나 결국 메타(META) 등의 실적부진으로 나스닥은 -2% 이상 하락하고 S&P500와 다우존스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Meta의 실적이 전년 대비 50%가까이 줄어들면서 어닝 미..

[2022.10.26(수) 쵸빗의 아침 시황]

[2022.10.26(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1,836.74(+1.07%) S&P500 : 3,859.11(+1.63%) 나스닥 : 11,199.12(+2.25%)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0.60(+1.69%) / 시간외 지수 48.72(-3.72%) 채권 시장의 금리 상승에 안정감을 찾아가는 것과 동시에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을 크게 상회한 후 화요일 미국 주식은 모두 상승했습니다. S&P500과 Nasdaq100은 모두 3거래일 연속 상승했습니다. Coca-Cola와 General Motors는 모두 애널리스트의 예상 수익을 상회한 후 상승했습니다. MicroS..

[2022.10.21(금)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0,333.59(-0.30%) S&P500 : 3,665.78(-0.80%) 나스닥 : 10,614.84(-0.61%) [한국증시 선물] MSCI South Korea Cap : 49.54(-0.02%) / 야간 선물 48.69(-1.72%) 리즈 트러스(Liz Truss) 영국 총리가 44일만에 사임을 결정했습니다. 증시는 이 소식에 랠리를 펼쳤지만, 연준 관리들의 매파적 발언과 스왑 가격이 2023년 5% 피크 정책 금리로 상승하면서 국채 수익률의 상승으로 미국증시는 또 다시 하락마감했습니다. 파운드는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가 사임한 후 하락했습니다. 현재 실적시즌으로 주식은 실적 기대치 이상으로 양호한 편이나 ..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