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3월 무역적자 1천405억 달러... 관세 앞두고 수입↑
트럼프 "2주내 의약품 관세 발표... 내주 약값 관련 큰 발표"
대만 달러, 이틀간 10% 급등... 신흥국 통화가치 동반 상승
📝 주요 경제동향 요약
FOMC 회의 앞두고 뉴욕증시 하락세…무역 전쟁 여파 지속
[뉴욕시장]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 심리가 짙어진 가운데, 뉴욕증시는 이틀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과 무역 전쟁 확대 가능성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하며 금융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05일(현지시간) S&P500 지수는 전일 대비 0.6%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Nasdaq100 지수는 0.7%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 하락하면서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달러화 역시 0.2% 하락했다. OPEC+가 대규모 원유 생산량 확대에 합의하면서 유가는 하락세를 보였고, 주요국 ETF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시장에서는 최근 일부 경제 지표가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여전히 관세 정책이 공급망 차질과 소비 심리 위축을 유발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경제의 둔화는 물론,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충격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수입 제한 조치를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확장할 계획을 시사했으며, 이에 따라 Netflix와 파라마운트의 주가는 동반 하락했다. 대만 달러는 최근 급격한 강세를 보이며 이틀 만에 미 달러 대비 10% 상승했다. 이는 대만 보험사들이 약세에 베팅했던 포지션을 급히 청산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대만 달러 시장의 낮은 유동성과 높은 거래 비용은 원화를 포함한 일부 아시아 통화의 단기적 강세를 유발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
한편,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포드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했지만, 관세 영향으로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철회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2.3% 하락했다. 팔란티어는 호실적과 가이던스 상향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8.4% 하락하는 약세를 보였다.
06일(현지시간)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는 이어졌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관련 발언 수위를 낮췄음에도 무역 전쟁 장기화에 대한 우려는 해소되지 않았다. 이날 S&P500 지수는 장중 변동성 끝에 0.77% 하락 마감했으며, Nasdaq100 지수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각각 0.9%, 러셀2000 지수는 1.1% 하락했다. 아시아 ETF가 강세를 보이며 MSCI 한국지수는 0.21% 상승 마감했다.
대부분 업종이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언급하면서 정책 불확실성이 고조되었고, 안전자산 선호로 인해 미국 국채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다. 백신과 제약 관련주는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장 마감 후 AMD가 기대를 웃도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시간 외 거래에서 5% 이상 상승했고, 이에 따라 Nasdaq 선물지수는 상승 전환되었다. 중국 허리펑 부총리가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회동 예정이라는 소식은 위안화 강세를 자극했고, 아시아 통화 역시 이에 동조하며 상승세를 나타냈다.
한편, 지정학적 리스크도 확대되고 있다. 인도군은 파키스탄 점령지인 잠무 카슈미르 내 테러 인프라에 대한 ‘신두르 작전’을 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캐나다의 카니 총리와의 성공적인 회담 소식을 전하며, 중동 순방 전 중대한 발표가 예정되어 있음을 암시했다.
시장 불안 심리를 반영하듯 VIX 지수는 24.76포인트로 상승했고,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3.6%로 유지됐다.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 간 스프레드는 0.544포인트로 증가했으며,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 차는 0.009포인트로 소폭 축소되었다. CME FedWatch에 따르면 시장은 FOMC 결과 발표를 앞두고 연내 세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미국, 일부 국가와 무역협정 임박…트럼프 "중국과 적절한 시점에 만날 것"
[Reuters]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이번 주 미국이 주요 교역국들과의 무역협정을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17개 주요 무역 파트너와 협상이 진행 중이며, 중국과는 아직 공식 협상이 시작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원하고 있다며, 적절한 시점에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3월 미국 무역적자는 관세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수입을 늘리면서 1,405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고율 관세 도입이 기업들의 선제적 수입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영국·인도 무역협정 체결…FDA 신임 책임자 임명과 자사주 매입 확대
[Bloomberg]
영국과 인도가 주요 품목의 관세를 대폭 인하하는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이번 합의로 양국 간 연간 교역 규모가 255억 파운드(약 44조 원)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 부문 신임 책임자로 비나이 프라사드를 임명했다. 프라사드는 소아 코로나19 백신에 비판적 입장을 보여온 혈액종양 전문의로, 향후 백신 정책 변화에 주목된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미국 기업의 자사주 매입이 2025년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독일 총리로 메르츠 선출…관세 인하 기대에도 시장 비관론 확대
[CNBC]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중대 실패자”로 비난하며, 연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카고 연은총재는 연준의 독립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웰스파고는 아마존이 일부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을 일시 중단했다고 밝혔으며, 트럼프의 연준 압박과 고관세 정책, 금리 인하 요구 등이 겹치며 다우지수는 950포인트 이상 급락했다.
금값은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로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3,400달러를 넘겼다.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국내 휴일 동안 연일 약세를 보이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무역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되며 추가적으로 경제지표가 경기침체를 일부 반영하면서 이에 대한 현금 확보 및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인해 주식 시장은 약세를 보인것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영국, 인도 등 서서히 무역협상이 이루어지고 있고 가장 주요한 미중 간의 무역협상이 어떤 방향이든 성사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면 불확실성 해소로 증시에 좋은 방향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틀 간 대만 달러의 강세로 인해 일시적 신흥국 통화의 강세가 나타나며 원달려 환율도 1,400원대 이하로 떨어졌지만 이런 기조가 지속될지 잘 지켜봐야겠습니다.
국내 시장은 긴 연휴로 인해 휴장이 이루어진 가운데 그 동안 있었던 글로벌 증시의 움직임을 금일 얼마나 따라 갈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던 조선, 방산, 바이오, 금융의 긍정적 수급의 흐름이 여전히 지속될지 아니면 다른 섹터로의 전환이 이루어질지도 주목되고 있으며, 금일 있는 바이오에 대한 트럼프 관세 발표 발언이 섹터에 어떤 흐름으로 이어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원달러 환율의 변화에 따른 외국인 수급 동향도 함께 파악하며 몇일 안남은 금일 국내 증시를 곧 시작하겠습니다.
긴 연휴로 인해서 다시 새로운 일정을 시작하기 쉽지 않겠지만 다시 마음을 다잡고 힘찬 아침 시작하시고 열정 가득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강세장은 비관 속에서 태어나 회의 속에서 자라며, 낙관 속에서 성숙해 행복 속에서 죽는다."
(Bull markets are born on pessimism, grow on skepticism, mature on optimism, and die on euphoria)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요 일정 Check Point]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주식 정보방 >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5.09(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8) | 2025.05.09 |
---|---|
2025.05.08(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0) | 2025.05.08 |
2025.05.01(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1) | 2025.05.02 |
2025.04.30(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2) | 2025.04.30 |
2025.04.29(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4)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