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준 3

미국 주식 아침 주식시황 2023.09.25(월)

미국 주식 아침 주식시황 2023.09.25(월)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지난 주는 FOMC 회의가 있었으며, 매파적인 금리동결의 영향으로 증시는 연일 하락 조정을 보이며 안 좋은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공포지수가 크게 상승하였고, 유가의 상승과 더불어 달러지수의 상승과 채권수익률 상승은 증시에 하방 압력을 강화시켰습니다. 마지막 금요일에 잠시 반등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아직 변동성을 지속하며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번주 미국 증시 주요 일정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9/25 : 미국 9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9/26 : 미국 9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 9/27 : 미국 8월 내구재수주 9/28 : 미국 2분기 GDP 확정치 9/29 : 미국 8월 개인소비지출(PCE) 다..

매크로 경제 지표 전망 분석(모건 스탠리 글로벌 보고서) - 2

저번 1편에서는 현재 미국의 성장율, 실업율,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지금 시점에서 코로나 이후 지속되고 있는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해서 '기대 이론'을 통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전편을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보시고 오시면 좋을 듯 합니다. https://korimhjs.tistory.com/266 그리고 추가적으로 아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채권 금리와 가격간의 상관관계를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금리와 가격간의 관계는 역상관관계에 있습니다. 즉, 채권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내리고, 채권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오릅니다. 그 이유는 채권을 사려는 사람들이 시장에 많아지면 공급/수요에 따라 그 가격은 오르게 되고, 이는 작은 이율에도 충분히 현 시점..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7(금)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7(금)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고용이 엄청 강하다는 서프라이즈 한 수치가 나오면서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5.1%까지 상승하는 등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보이며 모든 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한국 증시는 전일 외국인, 기관 연속 매도로 인해 시장하락으로 마감하였고, 큰폭 상승을 보였었던 코스닥은 -2% 이상 하락하며 반도체, 2차전지 최근 급등 종목의 차익실현 매물이 출현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들은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등 순매소 기조는 지속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 조선 기자재 등 실적 기대 종목은 상승하였습니다. 오늘의 이슈로는 미국 6월 고용보고서(실업률, 임금상승률 등)가 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2분기 잠정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