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31

[2022.09.29(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안내] 다우존스 : 29,683.74(+1.88%) 나스닥 : 11,051.64(+2.05%) S&P500 : 3,719.04(+1.97%) 영란은행의 무제한 장기국채 매입 등의 시장 개입 정책 결정으로 영국 채권이 상승하고 시장이 일시적으로 안정되면서 전체적으로 상승했습니다. 이 부분은 미국이 코로나 당시 자금을 풀기위해 양적 안회를 위해 미국국채를 정부해서 승인해서 달러를 시중에 풀었구요. 그로 인해 국채 가격하락(공급이 많아지니 국채수익률 상승)으로 이어 질 수 있어 그 채권을 연준이 무기한 매입 해줬습니다. 그로 인해 엄청난 달러를 시장에 살포해서 통화는 급격히 늘어났죠. 그와 비슷하게 지금 영국은 무리한 세금감면으로 국채 가격 하..

[2022.09.28(수)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아침 시황 시작합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안내] 다우존스 : 29,134.99(-0.43%) 나스닥 : 10,829.50(+0.25%) S&P500 : 3,647.29(-0.21%) 장초반에 상승으로 시작하여 반등 분위기였으나 결국 미국증시는 하락마감하였고, 나스닥만 소폭 상승으로 마감한 아쉬운 날이였습니다. 이는 미국 채권 가격이 여전히 4%에 육박하며 가장 최악의 가격 하락폭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달러강세로 증시의 하방압력이 강한 상황인 것 같습니다. 미국 증시는 다수의 연준 관리들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결의를 재확인한 후 급등락을 반복하는 변동성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고, 유럽 증시는 하락마감했습니다. S&P500은 2020년 2월 이후 가장 긴 연속 하..

[2022.09.27(화) 쵸빗의 마감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오늘은 참 힘드셨을 날이라 생각해서 간단 마감 상황 알려드릴려고 글 씁니다. [국내증시 당일 종가안내] 코스피(KOSPI) : 2,223.86 (+0.13%) 코스닥(KOSDAQ) : 698.11 (+0.82%) KOSPI200 : 290.2 (+0.15%) 장 막판에 코스피 코스닥 선물 모두 플러스 전환으로 마감했습니다. 장초반에 개인들의 반대매매 물량이 쏟아지면서 하락폭을 키웠고, 오후 들어서 비차익매수가 들어오고 나스닥 선물 지수가 오르고, 원달러 환율이 1423원으로 조금 하락하면서 지수는 양전으로 마감 하였습니다. 개인은 어제 380억에 이어 90억 가량 풋매수를 하였고, 결국 개인이 선물 하방으로 잡고, 현물 손절치는 물량을 외국인이 받아가며 지수를 끌어올리고 마감된 ..

카테고리 없음 2022.09.27

[2022.09.27(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다우존스 : 29,260.81(-1.11%) 나스닥 : 10,802.92(-0.6%) S&P500 : 3,655.04(-1.03%) 전일 미국 시장은 장초반에 상승으로 시작하였으나 결국 하락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전 세계의 중앙은행들이 매파적 스탠스를 계속 이어감에 따라 주식시장의 투자심리를 약화시키면서 미국 주식은 영국 통화 및 채권 시장의 급격한 움직임으로 악화된 불안정한 세션에서 하락하며, S&P500 지수는 2020년 12월 이후 최저치 가격으로 마감했습니다. CBOE 변동성 지수는 30을 넘어섰으며, 이는 6월 이후 한 번도 닫지 않은 수준으로 코로나때를 제외하고 평균 최고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리상승과 경기침체 우려로 부동산, 금융, 에너지, 반도체 섹터에서 하락을 ..

[2022.09.26(월)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전일 내용은 토요일 아침에 올려서 금일 월요일 시황은 미국 선물 지수를 확인하고 한 주간 추이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미국 선물 지수는 전일 하락에 이어 소폭 반등하여 상승 중에 있습니다. (US30 : 다우존스 선물지수 / US500 : S&P500 선물지수 / US Tech 100 : Nasdaq 선물지수) 이와 더불어 MSCI South korea Cap(티커: EWY)도 전일 -3% 이상 하락에서 현재 소폭 반등 중임을 확인됩니다. 이대로 선물지수가 반등이 지속된다면 한국장은 하락에서 소폭 반등도 가능할 수도 있을것 같지만 아직 바닥인지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KOSPI는 PBR 0.8 정도이며, PER는 8부근으로 멀티플 10도 안되는 저평가 구간..

[2022.09.24(토) 쵸빗의 아침 시황]

다우존스 : 29,590.41(-1.62%) 나스닥 : 10,867.93(-1.8%) S&P500 : 3,693.23(-1.72%) 모든 증시는 장중 -3% 이상 하락을 하다가 저점 매수로 인한 반등세로 소폭 올라와서 마감하였습니다. S&P500과 다우존스는 손실을 줄이기 위한 물량 출회로 잠지 저점을 돌파했었습니다. 나스닥 종목은 경기방어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이 6월 저점 부근까지 하락했다가 장후반부 매수심리로 지지선 위로 올라왔습니다. 또한 S&P500의 거래량은 전월평균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골드만삭스 그룹은 미국 주식에 대한 목표 가격을 낮췄고, 금리 기대치가 크게 상승하면 벨류에이션에 부담이 될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위험자산에 대한 회피 심리가 커지며 “공포 게이지”가 3개월 최고치를 치솟았고..

[2022.09.23(금)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다우존스 : 30,076.68(-0.35%) 나스닥 : 11,066.81(-1.37%) S&P500 : 3,757.99(-0.84%) 미국채 수익률은 수년동인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미 주간실업보험 청구권 수는 21만3천명으로 예상치 하회했습니다. 발표 후 지표는 하락하면서 반등에 성공하지 못하거 결국 하락 마감했습니다. 자중 다우존스는 반등하여 +전환 하였으나 결국은 -0.35% 하락으로 마감하는 등 머든 지수가 6월 저점을 확인 할 가능성이 높아져 보입니다. (전 저점은 현재 수준 보다 2.5% 낮은 수치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만 강세를 보이며 대부분 성장테크주는 크게 하락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시장은 올해 연준이 1.25%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

[2022.09.22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다우존스 : 30,183.78(-1.701%) 나스닥 : 11,220.19(-1.79%) S&P500 : 3,789.93(-1.71%) 금일 새벽에는 FOMC에서 금리인상 발표를 하는 중요한 날이였습니다. 미증시는 연준의 75pb인상 결정과 파월의 기자 회견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 한 후 결국 하락마감했습니다. 연준의 연이은 자이언트 스탭의 공격적인 긴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연착률 가능성은 점점 더 낮아진다고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S&P500은 장중 최저치 부근에서 마감되어 1월 이후 -20% 이상으로 하락폭을 어제 이어서 확대되었습니다. 새벽에 연준의 발표 이후 지수는 한때 1.3%까지 상승했으나 바로 반락했습니다. 2년 금리는 2007년 이후 처음으로 4%를 넘었고 달러는 ..

[2022.09.21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다우존스 : 30,706.23(-1.01%) S&P500 : 3,855.93(-1.13%) 나스닥 : 11,425.05(-0.95%) 현재 정책 이슈와 아주 관련히 높은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5포인트를 이탈한 최고치에 도달하고, 2년물 국채 수익률 역시 4% 가까이 도달해 있어 증시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S&P500은 6월 저점에서 반등해 고점이였단 8월16일 고점에서 10% 이상 하락해 있습니다. 모든 섹터에서 오늘 하락이 나타났다고, 부동산 섹터에서 가장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 Nasdaq에서 Apple만은 1.5% 이상 상승으로 보이며 S&P500대비 낮은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코인은 대체적으로 조정을 받고 있으며, 리플만 반등해서 상승세가 보이는 차트..

[2022.09.20 쵸빗의 아침 시황]

[2022.09.20 쵸빗의 아침 시황] 미국증시는 FOMC를 앞두고 관망세로 지지선에서 소폭 올랐습니다. (FED 기준금리 발표 9.20-21)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다우존스 : 31019.68(+0.64%) S&P500 : 3899.89(+0.69) 나스닥 : 11535.02(+0.76) S&P500 지수 내 부동산, 헬스 관련주를 제외하고 9개 업종 모두 올랐습니다. 헬스 관련 주인 모더나(-7%)와 노바백스(-6%)는 조 바디은 미국 대통령의 코로나19 종료 발언으로 크게 밀렸습니다. 코인 시장은 장전에 나스닥과 함께 많이 밀리다가 현재는 소폭 반등 했습니다. 비트코인에 비해 이더리움이 머지 이후 더 큰폭으로 가격이 내려온것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유가..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