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2023.01.05(목) 쵸빗의 아침 시황]

쵸빗 2023. 1. 5. 08:38
반응형

[2023.01.05(목) 쵸빗의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쵸빗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269.77(+0.40%)

S&P500 : 3,852.97(+0.75%)

나스닥 : 10,458.76(+0.69%)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57.62(+3.95%) / 시간외 지수 57.41(-0.36%)

 

[선물 및 VIX 지수]

US30 : 33,241.7(+0.32%)

US500 : 3,849.4(+0.66%)

US Tech 100 : 10,902.2(+0.36%)

US 2000 : 1,776.4(+1.46%)

S&P 500 VIX : 22.60(-1.96%)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주요 데이터에 대해 가장 최근 정책 회의에서 연준 관리들이 표명한 발언을 저울질하면서 미국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다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ISM제조업구매자지수 48.4 / 2개월 연속 예상치 48.5 하회 및 전월대비 49 하회)

 

S&P500과 Nasdaq100 모두 이틀간의 손실을 끝으로 반등했습니다. 국채금리는 하락 후 수요일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달러의 가치가 떨어졌습니다.

 

Microsoft는 sell리포트의 영향으로 4%이상 하락했습니다. 대부분 섹터가 상승한 가운데 일부 헬스케어업종이 가장 큰 하락을 보였습니다. 이어 기계섹터 및 에너지 섹터는 유가하락에 따라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부동산 섹터가 가장 크게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주요국 ETF는 대부분 상승마감했습니다.

 

중국 기술주들은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고가반도체 투자중단을 발표하는 동시에 호주산 석탄수입 재개를 검토 중입니다.

일본은행이 국채매입을 지속하면서 일본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본 화학주들이 신저가로 밀렸습니다.

 

FOMC 12월 회의록에는 금융 조건의 "부당한" 완화가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는 연준 위원들의 경고와 함께 노동 시장이 회복력을 유지한다면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준 위원들은 양면 위험의 균형을 맞추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회의록은 시장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연준이 할 일이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수요일에 많은 경제 데이터가 발표 되었습니다. 최신 ISM 데이터는 개선된 공급망 조건, 투입 가격 하락, 수요 둔화를 강조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연준이 환영할 것입니다. 그러나 구인 정보에 따른 노동 시장은 강세를 보였고 이는 세션 초반에 증시를 뒤흔들었습니다.

이제 투자자들의 시선은 노동 시장의 약화 가능성에 대한 모든 징후에 대한 금요일 비농업 고용 보고서에 집중될 것입니다.

 

미연준의 매파 기조의 재확인에도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고 이로인해 유로화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소폭 약수익을 보였고, 달러/엔 환율은 상승으로 엔화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인덱스 104.52/-0.25%, 달러/원 1,271.70/+0.05%, 달러/엔 132.54/+1.16%, 유로/달러 1.0603/-0.18%)

국제유가는 경기침체 우려가 고조되며 추가적으로 4%대 급락을 보였습니다.

천연가스은 기온이 예상보다 높은 와중에도 오늘은 반등세로 상승을 보였습니다.

(서부텍사스유 73.13/-4.94%, 브렌트유 78.05/-4.93%, 천연가스 4.15/+4.06%)

금은 6개월래 최고치 상승했고, 안전선호 심리와 각국 중앙은행의 매입 영향으로 상승세롤 보이고 있습니다.

(금 1,857.40/+0.61%, 은 23.89/-1.43%, 팔라듐 1,800.00/+6.33%)

암호화폐는 여전히 수급이 안 좋은 가운데 솔라나만 강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비트코인 $16,800.35/+0.87%, 이더리움 $1,249.95/+.29%, 솔라나 $12.94/-1.00%)

 

VIX지수는 22.01포인트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국채금리는 여전히 모든 세션에서 역전상태이며, 10-3개월물은 -0.8243으로 역전폭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하이일드스프레드는 4.7%로 소폭 낮아졌으며, FedWatch는 25bp를 71.2%반영중입니다.

 

[금일 기사 요약]

12월 FOMC 의사록에서는 고금리 유지 지속을 시사하였습니다.

미국 11월 구인건수 약 1,045만8천건을 보이며 예상치 상회 하였습니다.

미국 12월 ISM 제조업 PMI는 48.4를 보이며, 2년 6개월동안 최저치를 보였습니다.

미국 실업자 1명당 신규 일자리 1.7개로 노동 시장 불균형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유로존, 12월 S&P 서비스업 PMI는 49.8로 4개월래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세일즈포스는 직원 10% 감원을 시사하며, 빅테크 감원에 칼바람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구글·메타는 미국 온라인광고 50% 점유율에서 하락하며, 틱톡·아마존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미니애폴리스 연은총재는 미국 기준금리를 상반기에 5.4%까지 올려야 한다는 매파적 발언을 했습니다.

EU는 메타에 '개인정보보호 침해' 혐의로 3.9억 유로 벌금을 부과 하였습니다.

미국은 지난해 신차판매가 10년동안 최저 수준을 보이며, 공급망 타격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캐시 우드는 이번 하락에 테슬라 주식 약 1,900만 달러를 추가 매수하였습니다.

 

다행이 전일 미국장은 반등에 성공하며 소폭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제조업 PMI가 안좋게 나오면서 경기침체를 예상하며 증시는 안 좋은 방향을 보이는 것이 이제는 Bad is Bad 현상으로 전환 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Good 상황이 보인다면 시장은 환호하면 보다 큰 상승을 보여줄 수도 있겠다 생각됩니다.

금일 발표 중 중요하게 지켜봐야할 기사하나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그건 다름이 아닌 중국이 반도체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고 엔터 관련에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미중 갈등을 겪었던 부분에서 미국이 이를 받아 들이며 중국 관세 안화 정책 등으로 화답할 지 귀추를 집중해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뇌피셜같은 생각이지만, 중국이 호주의 석탄도 수입하겠다고 하는 것을 보니 혹시 부동산도 침체되며 경제적으로 디플레이션 압력을 받고 있어서 국가간 갈등을 해소 하고 이를 타개해 보려는게 아닌가 생각해보게 됩니다.

중국이 어느 국가보다 먼저 양적안화를 먼저 시작했지만 나아지지 않는 경제에 정책 변경을 보이는 스탠스가 나왔다는 것이 오늘에 가장 주요한 기사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오늘은 좀 더 마음을 편히 가지시고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Invest with LOVE~!

 

[2023년 01월 05일 목요일]

📊 주요 증시 일정

 

✅ 국내

 

✔️기아, 광명 2공장 내년 하반기 전면 가동 중단 관련 재공시

 

✔️중국 입국자, 입국 전 검사 결과 제출 예정

 

✔️2022년 국내 조선업 수주량, 글로벌 수주 비중 분석결과 발표 예정

 

 

🗒에코프로비엠이 올해 목표 매출액 10조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전년대비 두 배 규모입니다.

 

🗒KB자산운용이 명동 스카이파크호텔 매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 지역 아파트에 일률적으로 적용된 35층 높이제한이 9년만에 폐지됬습니다.

 

✅ 해외

 

✔️CES 개최 예정 (미국, 라스베이거스)

 

🇨🇳중국 차이신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10시 45분)

 

🇹🇭태국 소비자물가지수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13시 00분)

 

🇩🇪독일 무역수지 (11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16시 00분)

 

🇬🇧영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18시 30분)

 

🇮🇹이탈리아 소비자물가지수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19시 00분)

 

🇧🇷브라질 산업생산 (11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21시 00분)

 

🇺🇸미국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22시 15분)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22시 30분)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23시 45분)

 

🇺🇸미국 마킷 종합 구매관리자지수 (12월)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5일 23시 45분)

 

🇺🇸미국 원유재고

(한국시간 : 2023년 01월 06일 01시 00분)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입장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강경 매파로 분류되는 카시카리 연준 위원이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 1%이상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지원금 중단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아침시황, 주식시황, 쵸빗재테크, 쵸빗매크로, 쵸빗시황, 쵸빗아침시황, 쵸빗원자재, 쵸빗주식, 쵸빗주식공부, 쵸빗증권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