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2024.06.12(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쵸빗 2024. 6. 12. 08:39
반응형


2024.06.12(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 마감 시황]
미국증시는 하락 출발하였으나 애플 장중 7% 상승 폭 키우며 시장 반등을 이끌고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다우존스 하락)
유럽 의회 종료 후 정치적 리스크 부각과 ECB 추가 금리인하 제한의 영향으로 달러 인덱스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애플 +7.25%, 테슬라 -1.85%, 엔비디아 -0.71%, MS +1.12%,  마이크론 +0.19%, 인텔 +0.03%, AMD -0.86%, 
아마존 +0.09%, 메타 +0.97%, 알파벳 +0.92%, 오라클 시간외 +8%

(해외 주요 종목 이슈 )
애플 - 월가, 아이폰 판매 증가 전망 ··· 52주 신고가
엔비디아 - 미국, 중국의 AI칩 접근에 대한 추가 제한 검토
테슬라 - 머스크 "아이폰OS, 오픈AI와 통합시 회사 내 사용금지"
GM - 6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 추가 발표
인텔 - 250억 달러 규모 이스라엘 공장 가동 중단
일라이릴리 - 미국 FDA 자문위원회, '도나네맙' 만장일치 지지
보잉 - 5월 항공기 인도량, 전년비 절반 수준
마스터카드 - 2030년까지 유럽서 수동 카드 입력 단계적 폐지
 
[국내 증시 마감 시황]
국내증시는 소폭 상승 출발 후 하루종일 제한적 등락을 반복하며 약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외국인 선물 +210계약 / 차익 -363억, 비차익 3,787억)
 
(국내 주요 종목 이슈)
2차전지 선별 강세 (대주전자재료, 나노신소재, 포스코엠텍 등)
  ☞ EU 중국산 전기차 관세 부과 + 미국 국토부, '중국산 배터리 사용 금지' 의회에 제출
알테오젠 (역사적 신고가 경신하며 코스닥 시총 2위)
애플 관련주 급락 (비에이치, LG이노텍 등) ☞ 금일 애플 급반등으로 관련 종목 수급 확인
 
[이번 주 주요 이벤트]

6월 10일 : 애플 개발자 회의 (~14일)

6월 11일 : FOMC 회의 (~12일) / AWS 컨퍼런스

6월 12일 : 미국 CPI

6월 13일 : BOJ 통화정책 회의 (~14일) / 한국 선물옵션 동시만기

6월 14일 : 코스피 200, 코스닥 150 정기 변경

 

[다음 주 주요 이벤트]

 

 

<내일장 체크 포인트>

FOMC 기자회견

5월 CPI

브로드컴 실적

 

전일 하락했던 애플이 급등을 보이며 미국 증시는 사상최고치를 갱신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최근 다시 상승했던 미국 채권 수익률 또한 다시금 하락을 하며 국내 증시도 금일 다시금 상승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하겠습니다. FOMC가 진행되는 가운데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이 9월과 11월에 이야기가 오가는 가운데 시장의 변동성이 커져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증시 상황에서 변동성에 너무 흔들리지 않고 긴 투자 시계열을 생각하며 투자 아이디어와 원칙 매매를 지키며 버티는 투자를 하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고 내일부터 2일간 출장으로 아침 시황이 어려울 것 같아서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VIX 지수]

CBOE VIX : 12.85( +0.86% )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63.78( -0.62% 

 

[한국 증시 전일 종가]

코스피 : 2,705.24( +0.15% )

코스닥 : 868.37( +0.42% )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8,747.42( -0.31% )

S&P500 : 5,375.32( +0.27% )

나스닥 : 17,343.84( +0.88% )

 

[원자재 / 채권 가격]

비트코인 $67,419.3, 이더리움 $3,504.72

 2,333.70, 은 29.387    

필라델피아 반도체 5,367.5, 천연가스 3.112, WTI유 78.25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403 미국 2년물 국채 금리 4.834

 

[금일 주요 경제지표 발표]

 

 

 

📝 주요 경제동향 요약

 

390억 달러 규모의 강력한 국채 매각으로 인해 채권시장이 활기를 띠었으며, 투자자들은 수요일 발표될 인플레이션 보고서를 앞두고 주식 시장에서는 관망세를 보였습니다.

10년 만기 국채 경매에 대한 수요는 매우 강력했으며, 입찰비율은 2.67로 긴축 사이클이 시작되기 한 달 전인 2022년 2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S&P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7bp 하락한 4.40%를 기록했습니다. 유럽의 정치적 불안감이 심화되며 프랑스 채권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고, 이러한 여파로 미국 국채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 업종만이 유일하게 강세를 보였으며, 다른 대부분의 업종은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상업용 부동산 관련 부정적 기사들이 나오면서 금융 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가 냉각되었습니다. 주요국 ETF는 혼조세를 보였고, 유럽 증시는 부진한 영국의 경제 데이터와 주요국의 보수 진영 당선 랠리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Apple은 기록적인 상승을 보이며 빅테크 주식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JPMorgan과 Citigroup 같은 대형 은행들의 부진은 지방 은행들까지 영향을 미쳐 은행 업종의 약세를 부추겼습니다. GM은 대규모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상승세를 보였지만, 올해 전기차(EV) 판매 전망은 하향 조정했습니다.

최근 몇 주 동안 여러 연준(Fed) 지도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성장 전망이 견조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해왔습니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재키 로젠 상원의원이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장 마감 후 발표된 오라클은 실적 가이던스는 부진했지만, Google 및 OpenAI와의 클라우드 협력 소식을 전하며 시간외 거래에서 8% 상승 중입니다.

  

주요 지표 동향

  • VIX 지수는 12.85포인트로 상승했고,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3.15%로 전일 대비 동일했습니다.
  • 10년물과 2년물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0.431포인트, 10년물과 3개월물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0.992포인트로 모두 증가했습니다.
  • FedWatch는 연내 9월 한 차례만 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탐욕 & 공포지수는 전일대비 2 하락하며 46(Netural)  입니다.

 

 

  

[주요 기사 요약]

 

- CNBC -

GM, 60억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

JP모간 "미국 연준, 올해 11월 금리인하 예상"

오펜하이머, 엔비디아 목표가 110 → 150달러 상향

 

- Bloomberg -

영국 4월 실업률 4.4% ··· 2년반래 최고

"바이든 행정부, 중국 AI 반도체 접근성 추가 제한 검토"

JP모간, 테슬라 투자의견 매도 ···  목표가 115달러 제시

 

- Market Watch -

WB,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2.4% → 2.6% 상향

미국 10년물 국채입찰 응찰률 2.60배 ··· 수요 양호

미국 레드북 소매판매지수 5.5% ··· 전주비 하락

 

 

 

[주요 주요 이슈]

 

1. 6월 ~10일 수출입 통계 (영업일 수 5일)

  • 수출 $146억 / 수입 $154억 / 반도체 +36.6% / 자동차 -18.9%
  • 디램 : 수출 금액 +57%(YoY) / 수출 단가 +91.3%(YoY)
  • 플래시메모리 : 수출 금액 +80.8% (YoY) / 수출 단가 +57.8% (YoY)
  • 양극재 : 일평균 수출 517톤 -26.3% (YoY) / 수출 단가 -40.3% (YoY) ☞ 2023년 양극재 일평균 수출량 725톤
  • 화장품 : 전년비 -3%, 전월비 -14% / 미국 +55%, 중국 -37%
  • 양호 : 디램, 낸드, MLCC, OLED, 필러, 미용기기, 유압실린더, 소형변압기

2. TSMC, 2026년까지 고객 대기 (대만 경제일보)

  • "AI서버, 고속컴퓨팅 애플리케이션, 고급형 스마트폰 등이 반도체의 AI혁신을 주도해 애플, 퀄컴, 엔비디아, AMD 등의 주요 고객사들과 2026년까지의 계약 체결"
  • "애플 아이폰16은 매년 5%씩 성장해 약 9,200만 ~ 9,500만대 예상"

3. 삼성전자, 데이터센터용 최선단 디램 별도 TF 구성

  • 수율 높여 연내 생산량 확대 계획

4. 유리 기판, CoWoS (칩온웨이퍼온서브스트레이트) 대체할 것

  • 이용원 조지아텍 교수 - 반도체 유리기판 서플라이체인 & 기술컨퍼런스

5. 아마존, 국내 뷰티 기업 대상 대규모 설명회 개최

  • 27일 코엑스 '아마존 K뷰티 컨퍼런스, ☞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사업 지원 강화 방안 발표

6. EV3, 사전계약 일주일만에 6,000대

  • 기아의 첫 전기차 대중화 모델 - 3,610만원 / NCM 배터리 장착

7. GM, $60억 자사주 매입 발표 (CNBC)

  • 작년 11월 $100억 규모 자사주 매입 ☞ 이번 달 완료
  • 3분기 부터 새롭게 $60억 자사주 매입

8. 테라파워, 미국 첫 소형원자로 착고 (AP통신)

  • 빌게이츠가 설립한 SMR 기업 (SK그룹 3,400억 투자)
  •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착공식 / 냉각재로 물대신 액체 나트륨 사용
  • 이번 프로젝트에 최대 약 $40억 투자 (약 50%는 미국 에너지부가 지원)

9. AES CEO, 데이터센터용 원자력 에너지 기대는 과도 (SNBC, 로이터)

  • 현재 건설중인 전력 설비의 40%가 데이터센터향    이중 89%가 재생에너지, 11%는 가스 발전

10. 미국, 중국, 유럽 등 80여종의 SMR 개발 진행 (서울경제)

  • 미국, 'SMR 규제 안화법' 만들며 시장 선도

 

 

 

 
미국주식, 환율, 한국경제, 증시각도기, 원자재, 증권, 주식시황, 비트코인, 암호화폐, FOMC, 채권, 달러, 연준, 금리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