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1.16(월)

쵸빗 2023. 1. 16. 09:15
반응형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1.16(월)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주식 시황 시작하겠습니다!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4,302.61(+0.33%)

S&P500 : 3,999.09(+0.40%)

나스닥 : 11,079.16(+0.71%)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62.42(+0.74%)

 

[선물 및 VIX 지수]

S&P 500 VIX : 20.60(-3.07%)

US30 : 34,309.0(+0.35%)

US500 : 3,99.7(+0.41%)

US Tech 100 : 11,534.2(+0.65%)

US 2000 : 1,886.2(+0.71%)


전주의 미증시는 인플레이션의 피크를 찍고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피봇 기대감과 금리인하 가능성을 예측하며 반등을 제대로 보여준 한주였습니다.

주간 기준으로 다우존스는 +2%, S&P500은 2.67%, 나스닥은 +4.82%를 보이며 6일 연속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12월 비농업부분 고용이 증가하고, 실업률이 3.5% 하락하는 등 고용이 아직 강하다는 모습으로 상승폭을 제한 했습니다. 그러나 임금이 +0.3% 인상으로 서비스 물가 하락 기대가 남아 있습니다.

12월 CPI 6.5% / 근원 CPI 5.7%로 예상대로 둔화를 보이며 전월 대비 증가율 -0.1%로 팬데믹 이후 첫 하락을 보였습니다.

22년 한 해 동안 가장 어려웠던 빅테크도 큰 상승을 보인 가운데 특히 아마존 +13.9%, 테슬라 +8.2%, 엔비디아 +13.7%, TSMC +11.1%, 애플 +3.9%로 큰 폭으로 하락을 했던 종목이 크게 반등을 보였습니다.

IBM이 DDR5 기술 발표 이후 반도체 수급이 크게 들어오는게 변화되어가는 시장 상황을 나타내었습니다.

 

국내 시장 또한 외국인 / 기관 수급이 들어오는 한 주 였습니다.

주간 코스피 +4.2%, 코스닥 +3.32% 상승을 보여주었고, 수급은 개인 -2.72조, 외국인 +1.74조, 기관 +9,889억을 보였습니다. 특징으로는 연말 배당락 이후 금투의 매도가 종료되고 외국인 매수가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 중 로봇, 태양광, 풍력, 원자력 관련 테마의 강세로 현재는 종목별 순환장세가 진행 중으로 파악 됩니다.

 

이 번주 국제 시황 전망으로는 월가의 3월 금리인상 종료 기대감과 1월 말 실적 발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현제 시장의 우려로 말하는 경기 침체가 문제가 아니라 돌발적인 악재 상황이 없는지가 더 중요한 상황인 것 같습니다.

국내에 원화 강세 지속으로 외국인의 매수세가 지속 유입되는지가 중요한 상황이나, 다음 주 설 연휴와 LG엔솔의 보호예수 해제가 남아 있어서 수급이 크게 들어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실적 발표로 기대감이 높은 종목에 실적 장세가 중요한 요인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현재 문제시 되는 일본 국체 이슈를 더욱 더 자세히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101.41선 붕괴 여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초안화적 통화 정책에 대한 변경이 예상되며 엔화 강세를 유지하며, 유로 및 위안화 강세도 현재 지속되고 있습니다.

(달러인덱스 102.18/-0.07%, 달러/원 1,241.30/-0.36%, 달러/엔 127.85/+0.05%, 유로/달러 1.0832/+0.14%)

국제유가는 주간 8% 급등하며 중국 경제 재개 기대감이 작용한 원인으로 보였습니다.

(서부텍사스유 79.86/+1.88%, 브렌트유 85.28/+1.49%, 천연가스 3.42/-7.57%)

Gold는 1,920달러를 상회하였고, 이에 Silver도 상승하여 24달러 가격을 상회하였습니다.

구리, 아연, 주석 등의 산업용 금속도 호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금 1,921.70/+1.21%, 은 24.37/+1.53%, 팔라듐 1,787.30/-0.20%, 구리 4.22/+0.46%)

암호화폐는 이번 상승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을 보였으며 한 때 비트코인은 2만 1천 달러를 돌파하여 22% 이상 급등을 보였습니다. 이더리움 또한 1,500달러를 돌파하여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장 크게 하락했던 솔라나는 40% 이상의 급등을 보여주었습니다. 바닥대비는 벌써 100% 이상 상승을 보였습니다.

(비트코인 $20,900.29/+0.34%, 이더리움 $1,552.71/+1.19%, 솔라나 $23.37/+1.17%)

 

[금일 기사 요약]

한국 UAE 정상회담이 종료되며 한국에 37조원 투자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미국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4.6으로 예상치 상회 하였습니다.

미국 12월 수입물가는 전월비 0.4% 상승하며 6개월만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중국 GDP는 46년래 두번째 최저 전망을 보였습니다.

미국 국가부채 상한선 도달이 임박하여 시장에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 하였습니다.

유로존 11월 무역수지가 117억 유로 적자로 적자행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빅테크는 경기침체, 경쟁심화, 규제강화로 인해 올해도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WSJ는 이야기합니다.

 

미증시는 연일 상승을 보여주었으나 아직 국내증시는 크게 상승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종목별 장세로 지수가 상승하는 거에 비해 개인별로는 크게 체감하지 못하는 현재여서 더욱 답답할 수도 있는 증시 상황입니다. 하지만 또 한주가 시작되었고 그 시작을 활기차게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금일 저녁은 마틴루터킹데이로 미국 시장은 휴장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nvest with LOVE~!

 

2023년 01월 16일 월요일

📊 주요 증시 일정

 

✅ 국내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360 출시 예정

 

🇰🇷한국 수입액 / 수출액 발표예정

(발표시간 : 23년 01월 16일 08시 55분)

 

🇰🇷한국 무역수지(12월) 발표예정

(발표시간 : 23년 01월 16일 08시 55분)

 

🗒UAE가 한국에 300억(약 40조원)달러 규모의 투자를 결정했습니다.

 

🗒HUG(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전세대출 보증신청 중 부채비율 90% 도달하는 주택에 관해 보증한도를 기존 80%에서 60%로 하향 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혼다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 법인명을 L-H Battery Company로 확정했습니다.

 

✅ 해외

 

✔️다보스포럼 개최 (윤석열 대통령, 추경호 부총리 참석 예정)

 

✔️러시아-벨라루스, 연합 훈련 실시 예정

 

🇮🇳인도 도매물가지수(12월)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15시 30분)

 

🇨🇭스위스 세계경제포럼(WEF) 연례총회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17시 00분)

 

🇩🇪독일 ZEW 경기기대지수(1월)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19시 00분)

 

🇩🇪독일 ZEW 경기동향지수(1월)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19시 00분)

 

🇪🇺유로존 재무 장관 회의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19시 00분)

 

🇧🇷브라질 중앙은행(BCB)의 포커스 시장 정보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20시 30분)

 

🇨🇦캐나다 제조업판매 (11월)

(한국시간 : 23년 01월 16일 22시 30분)

 

🗒기시다 일본 총리는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소통을 지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작년(2022) 전 세계 퍼스널 컴퓨터(PC) 수요가 15%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핵심 국유기업 동방항공, 남방항공이 뉴욕증시(NYSE) 자진 상장폐지를 결정했습니다.

미국주식, 아침시황, 주식시황, 쵸빗재테크, 쵸빗매크로, 쵸빗시황, 쵸빗아침시황, 쵸빗원자재, 쵸빗주식, 쵸빗주식공부, 쵸빗증권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