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 52.2
미국 재무 "저가상품 공급 중단 시 중국 경제 멈춰"
📝 주요 경제동향 요약
뉴욕증시, 빅테크 실적 호조와 미중 무역 기대감에 주간 상승 마감
[뉴욕, 25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긍정적인 실적 발표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중 무역 회담 진전 기대감에 힘입어 이번 주 상승세로 마무리되었다.
대형주의 강세가 두드러지면서 S&P500 지수는 5,500선을 돌파해 1월 이후 가장 긴 상승 랠리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는 1.14% 상승했으며,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소폭 상승 마감했다. 반면, 중소형주를 대표하는 러셀2000 지수는 소폭 하락해 약보합세로 거래를 마쳤다. 채권 가격과 달러화 가치는 동반 상승했다.
투자자들은 미국과 중국 간 관세 협상 재개 가능성에 주목하며 주요국 ETF에 대한 매수세를 강화했다. MSCI한국지수는 0.32% 하락했으나, 야간선물은 0.30% 상승 마감했다.
특히 미국 교통부가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를 발표한 이후 Tesla 주가는 9.8% 급등했다. Alphabet 역시 견조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상승했고, Amazon과 Nvidia는 인공지능(AI) 투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주가를 끌어올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 연기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며 "실질적인" 조치 없이는 중국에 대한 기존 관세를 인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일시적으로 시장에 부담을 주었다. 그러나 곧이어 중국이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125% 관세를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전해지면서 주가는 다시 반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을 3~4주 안에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장은 향후 무역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경제 지표에 따르면 미국의 소비 지출은 현재까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향후 전망은 다소 어두운 상황이다. 특히 기업들이 관세 및 원자재 비용 상승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준비를 하고 있어, 이에 따른 물가 상승과 소비 둔화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관세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불안으로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1991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들의 이익률은 여전히 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해 관세 부담을 견딜 여력이 있다는 평가다. 다만,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들의 수익성 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변동성 지수(VIX)는 24.84포인트로 하락했으며,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는 3.73%로 축소되었다. 10년물과 2년물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0.479포인트로 축소되었고,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는 -0.07포인트로 다시 역전되었다. FedWatch에 따르면 시장은 올해 6월 이후 총 4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트럼프 "시 주석과 여러 차례 통화…3~4주 내 관세협상 마무리 기대"
[Reuter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타임지 인터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여러 차례 통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행정부가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 집중하고 있으며, 3~4주 내로 주요 국가들과의 관세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자신이 200여 건의 관세 협정을 체결해왔으며, 미국이 ‘백화점처럼’ 가격을 정하는 입장이라고 비유했다.
다만, 중국 외교부는 미국 측의 협상 진행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며, 공식 협상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중국은 미국산 반도체 8종에 대해 125% 보복관세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 내 첨단산업 보호와 미국과의 무역갈등 완화 신호로 해석된다.
미국 소비심리 3년 만에 최저…P&G "관세 부담, 제품가격 인상 불가피"
[Bloomberg]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는 52.2로, 최근 3년 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자들의 단기·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도 수십 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이는 관세 등으로 인한 물가상승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P&G(프록터앤드갬블)는 관세 부담을 제품 가격에 전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G CEO는 "관세는 본질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며,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미국 재무부는 "중국이 저가 상품 공급을 중단할 경우 중국 경제가 멈출 수 있다"고 경고하며, 중국의 수출 주도형 경제 모델의 한계를 지적했다.
트럼프, 젤렌스키와 회동 후 푸틴 비판…100일 지지율 역대 최저
[CNBC]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로마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동한 뒤 러시아의 최근 미사일 공격을 강하게 비난하며,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 국무부는 이번 주 내로 우크라이나 평화 중재 지속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100일 지지율은 39%로, 최근 80년간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론조사에서는 경제정책과 대외정책에 대한 불만,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연일 상승세를 보이며 이제는 무역 전쟁의 우려가 어느정도 안화되며 기업의 실적 부분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아직 연일 상승에도 예전의 주가 회복은 아직 시간이 필요해 보이며 또 이런 시기에 트럼프의 발언과 행동으로 증시 발작이 다시 일어날 수 있기에 안심하기엔 이르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아직 경기침체에 돌입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우려감은 존재하기에 투자의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천장이 어딘인지 모르고 상승한 금 가격이 고점을 찍고 하락을 보이고 있고, 암호화폐와 미국 증시로의 수급이 유입되며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긍정적인 흐름으로 볼 수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는 채권의 가격과 금리 추이를 보면서 시장에 대한 펀더멘탈의 가치를 생각하며 투자를 해야겠습니다.
국내 시장은 미국과의 조선에 대한 새로운 수주 계약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동시에 무역 관세 정책의 우려에서 벗어난 섹터로 다시 큰 상승을 보이며 52주 신고가를 보였습니다. 여전히 한 쪽으로 쏠림이 강하며 SK하이닉스의 실적발표 호조에도 국내 증시는 아직 주요 반도체와 관련 기업에 대한 수급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흐름이 언제 턴을하며 전체적 상승 흐름이 나올 지 주목해보면서 조금 어려운 이 시기를 기다리고 인내하는 자세가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볼 때 달러 약세와 더불어 예전 차화정 싸이클 때와 더불어 기업과 정부의 협업이 잘 이루어지면 국내 증시에 큰 이익을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이번 힘차게 시작하시고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한 주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강세장은 비관 속에서 태어나 회의 속에서 자라며, 낙관 속에서 성숙해 행복 속에서 죽는다."
(Bull markets are born on pessimism, grow on skepticism, mature on optimism, and die on euphoria)
✏️5월 1주차 매크로 전략
지난 주 미증시는 큰 지표 발표가 부재한 가운데 트럼프의 관세 정책 완화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미증시 반등세가 지속되었습니다
<美증시 반등 베팅…대표지수 ETF 순자산 쑥>
https://www.mk.co.kr/news/stock/11302659
이번 주는 화요일 JOLTs 보고서, 수요일 GDP/PCE 발표 및 목요일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등 미국 경기 및 산업 관련 지표들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최근 발표된 지표들 참고해보면 아직까지 경기 둔화 시그널이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감이 여전히 부각되고 있는 구간이기에 관련 지표에 따른 증시 흐름을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관세 타격 가시화하나…美 GDP·고용 주목>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3185
유가의 경우 WTI 기준 63달러 수준으로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감이 일부 해소되면서 변동성이 안정화된 것으로 파악되나, 여전히 관세 정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구간이기에 계속해서 유가 흐름도 함께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환율의 경우 현재 1,437원 수준으로 미증시 반등에 따른 달러 가치 회복세가 나타나면서에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나, 코스피/코스닥 반등에 따라 환율 변동성은 크게 나타나기는 어려운 구간이라 판단됩니다
<한미 간 환율 별도 논의…이창용 "나쁘지 않아">
https://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1307
미증시를 비롯해 국내 증시 역시 본격적인 실적 시즌에 진입하면서 실적주들을 중심으로 수급이 유입되는 모습입니다. 지난 주의 경우 조선 관련주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수급이 강하게 유입되었으며, 반도체 섹터의 경우 SK하이닉스의 실적 발표와 함께 HBM 관련주들이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깜짝 실적' 조선주 52주 신고가 순항>
https://www.fnnews.com/news/202504271833448268
<SK하이닉스, 1분기 역대급 실적 이끈 HBM·D램…2분기 기대감↑>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42710054127996ed0c62d49_1/article.html
이와 함께 1분기 호실적을 보인 기업들을 중심으로 2분기에도 수급이 이어질 수 있기에 개별 기업별 실적 관련 코멘트들은 계속해서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세 전쟁’ 우려 정점 통과…눈은 ‘실적’으로>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22006642140384&mediaCodeNo=257&OutLnkChk=Y
더불어 이번 주 연휴 기간 관련하여 거래대금축소에 따른 단기 변동성도 함께 참고하시면서 대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요 일정 Check Point]
🗓 25.04.28 증시 주요 일정 및 코멘트
✅ 국내
국회 예결위,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심사
사이버 보안 전시회 'RSA 컨퍼런스' 개최(현지시간)
HD현대, 자회사 HD현대오일뱅크㈜ 1,509억 과징금 관련 재공시 기한
신규 상장 : 쎄크
공모청약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韓실적발표) DB하이텍, LG씨엔에스, LG생활건강, 두산밥캣, 한화오션, 현대오토에버, 엠앤씨솔루션, HK이노엔, HD현대건설기계, HDC랩스, S-Oil, iM금융지주
상호변경 : 와이팜(피에스일렉트로닉스), 아이티센(아이티센글로벌), 제주맥주(한울앤제주), SCI평가정보(서울평가정보), 아이엘사이언스(아이엘), 포커스에이치엔에스(포커스에이아이), 블리츠웨이스튜디오(블리츠웨이엔터테인먼트)
변경상장 : 셀레스트라(감자)
거래정지 :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추가상장 : 올리패스, 신라젠, 탑머티리얼, 예스티, 유바이오로직스, 나이벡, SKAI, 노머스, 크라우드웍스, 한울소재과학,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한선엔지니어링, 엠로, 트윔, 글로본
보호예수 해제 : 스타코링크, 저스템
✅ 해외
캐나다 조기 총선(현지시간)
美) 4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 활동(현지시간)
👉 일정 코멘트
1. 미중 무역 갈등이 긴장과 완화를 반복하며 변동성 보이는 가운데 이번 주부터 다음 주까지 연휴기간을 앞두고 거래대금 회복 제한적일 전망
2. 다만, 아직 관세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된게 아닌 만큼 기업들의 실적발표 이어지면서 개별 업종별, 기업별 차별화장세 지속 및 쏠림장세 이어질 것
3. 특히 연휴 이후 FOMC와 옵션만기일을 소화해내야하는 만큼 올라갈 때 수익실현 습관화 및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 요구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Daily News - 04/28(월)
🗞 #반도체/#디스플레이/#IT
애플·MS·아마존·메타 등 실적 발표…트럼프 주니어 방문도 주목[D’s 위클리 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AI 빗장 푼 삼성전자 반도체…메타 ‘라마4’ 전 부문 도입 [biz-플러스]
https://m.sedaily.com/NewsView/2GRP2U...
[글로벌 AI 리포트] 구글 제미나이 월 이용자 3.5억명···챗GPT는 5억명 돌파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
22조 CXL시장 잡는다…삼성·SK, CXL 상용화 '눈앞'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
열 받지 말고 ‘Chill’하게…데이터센터 열관리시장 뜬다
https://m.dnews.co.kr/m_home/view.jsp...
미국용 아이폰 ’100% 인도 생산' 계획은 비현실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삼성전자, 작년 파업 인도 생산시설에 1700억 투자 결정”
https://m.alphabiz.co.kr/news/view/10...
메모리 '고성능 대세론' 확산…"AI가 구조적 변화 이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
🗞 #자동차/#2차전지/#로봇/#기계
레인지로버 전기차 제원 공개, 자체 개발 배터리 탑재
https://www.top-rider.com/news/articl...
[초점] 트럼프 관세에 전기차 가격 부담 커진다…테슬라·폭스바겐 일부 모델은 유리할 수도
https://m.g-enews.com/ko-kr/news/arti...
[단독]솔루스첨단소재, 해외 대형 배터리사와 전지박 공급 계약
https://www.edaily.co.kr/News/Read?ne...
'저점 확인' 삼성SDI, 신성장동력 '만반의 준비'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
"주주가치 제고는 곧 경쟁력 강화"…현대차의 투명성 강화 행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소비재/#유통/#엔터/#게임/#레저
공모 비중 최소화한 달바글로벌 IPO…美관세·K뷰티 둔화 속 '흥행 시험대'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
"오늘부터 SKT T월드 매장 2600여곳서 유심 교체" 재고는 얼마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효성티앤씨 '스판덱스' 수익성 10% 회복…中 증설 악재 털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우주/#방산/#조선/#에너지/#바이오/#철강/#화학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 “경구화 플랫폼 개발성공…먹는 비만약 무한확장 도전”
https://mpharm.edaily.co.kr/News/Read...
"중국 선박 없으면 불가능…" 美 LNG 업계 '트럼프 빗장'에 반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초점] 美 그리드 배터리 저장 장치 용량, 5년간 5배 급증…에너지 혁신 선도
https://m.g-enews.com/ko-kr/news/arti...
'스타링크·원웹' 韓 도입 마무리 단계…올해 비행기 고속 와이파이 터진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기술자립' 3200억 투입... 저궤도 위성통신 띄우는 정부
https://m.mt.co.kr/renew/view.html?no...
한수원, 체코 원전 수주 '초읽기'…다음달 최종계약 체결 유력
https://v.daum.net/v/20250428070024684
포스코인터, 내달 말레이 광구 첫 탐사시추…미얀마 '잭팟' 기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OCI홀딩스, 미국 태양광 경쟁력 강화에 올인...올해 영업익 2배 이상 개선 전망
https://www.consumernews.co.kr/news/a...
[이 시각 세계] "알래스카 LNG, 한·일·대만 연계 검토 방안 부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단독]한화엔진, 중속엔진사업 10년 만 재진출 검토…HD현대 중심 판 깨나
https://cm.asiae.co.kr/article/202504...
"트럼프도 못 막아"…'그야말로 잭팟' 美서 대박난 사업 [종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美, 알래스카 LNG 사업 압박 본격화…韓, 6월 전 결론 낼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사회/#정부/#부동산/#일반/#기타
비트코인 잠잠한 사이…리플은 ‘선물ETF’ 승인에 급등 [투자36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이재명, 89.77%압도적 기세…"반드시 정권 탈환"
https://m.sedaily.com/NewsView/2GRP34...
🗞 #해외
"트럼프 美정부, 北과 대화재개 대비해 내부 논의·전문가 협의"
https://v.daum.net/v/20250428073307122
[속보]"북·러조약 이행 충실"...북, 러 파병 공식 확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미 국무장관 “러ㆍ우크라 종전 협상 중재 지속 여부 이번주 결정”
https://m.etoday.co.kr/view.php?idxno...
美재무 "트럼프 관세는 전략적 불확실성…中도 협상할 것"
https://cm.asiae.co.kr/article/202504...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소득세 완전 면제…미국에 기회"
http://m.joseilbo.com/news/view.htm?n...
美재무 “저가상품 공급 중단시 中경제 멈춰…높은 관세율은 트럼프 전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미·중 관세 전쟁에 중국 수출 공장들 생산 중단...관세 압박 여파에 주목
https://m.g-enews.com/ko-kr/news/arti...
'주식 정보방 >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30(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2) | 2025.04.30 |
---|---|
2025.04.29(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4) | 2025.04.29 |
2025.04.25(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9) | 2025.04.25 |
2025.04.24(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1) | 2025.04.24 |
2025.04.23(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9)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