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주간실업수당 청구 22.4만건... 전망 소폭 하회
미국 작년 4분기 성장률 2.4% 확정... 잠정치 대비 0.1%P ↑
금값, 3100달러 돌파... 골드만삭스, 목표가 3300달러로 상향
📝 주요 경제동향 요약
미국 증시, 견조한 경제 지표에도 관세 우려로 하락세
[뉴욕, 27일(현지시간)] 미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국내총생산(GDP) 등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 지표가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세로 인한 무역 전쟁 심화 우려가 커지며 주식시장은 하락세를 보였다.
S&P500 지수는 0.3% 하락하였으며, Nasdaq100 지수는 0.6%,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 각각 하락하였다. ETF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는데, 유럽에서 자동차 산업에 노출된 독일은 0.7% 하락한 반면, 노출도가 적은 중국은 강세를 나타냈다. 한편, MSCI 한국지수는 0.46%, 야간선물은 0.69% 하락으로 마감하였다.
대부분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특히 자동차, 기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에너지 업종이 하락을 주도하였다. 반면, 자동차 부품 소매업체, 렌터카, 중고차 등 업종은 중고차 및 자동차 정비에 대한 잠재적 수요 증가 기대로 강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Toyota, Mercedes-Benz, General Motors 등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타격을 입었다. 대형주는 엇갈린 모습을 보였으며, Apple은 상승한 반면 Nvidia, 브로드컴, 마이크론, AMD 등 반도체 업종은 인공지능(AI) 투자 과잉에 대한 경계감으로 하락하였다. GameStop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사기 위해 부채를 지는 계획에 반응하면서 하락하였다.
한편,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룰루레몬은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내놓았지만, 이달 초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경제 및 인플레이션 우려로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언급하며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를 제시하였고, 이로 인해 시간 외 거래에서 10% 이상 하락 중이다.
채권 시장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로 단기 국채가 장기 국채보다 성과가 좋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EU와 캐나다가 미국에 맞서 힘을 합칠 경우 더 무거운 처벌을 내리겠다고 위협하는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연준) 위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추진하는 동안 인플레이션이 계속 불안한 수준으로 남아 있다고 발언을 이어갔다.
440억 달러 규모의 미국 7년 채권 발행은 약세를 보였다. 달러는 변동성 끝에 하락하였으며, 멕시코 페소는 주요 통화 중 가장 큰 손실을 기록하였다. 멕시코는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경제가 추가 미국 관세 가능성에 직면하면서 금리를 인하하였다.
VIX 지수는 18.69포인트로 상승하였고, 하이일드 스프레드도 3.19%로 증가하였다.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 스프레드는 0.365포인트, 10년물과 3개월물은 0.06포인트로 모두 증가하였다. FedWatch는 전일 대비 큰 변화는 없지만 하반기 보다 급진적인 금리 완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미국 경제 지표, 예상보다 견조한 성장세 [Market Watch]
주간 실업수당 청구 22.4만 건... 전망 소폭 하회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4만 건으로 집계되며 시장 전망치를 소폭 하회하며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했다.
작년 4분기 성장률 2.4% 확정... 잠정치 대비 0.1%P 상승
미국의 2024년 4분기 GDP 성장률이 2.4%로 확정되며 잠정치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되며 경제가 예상보다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채 금값 3100달러 돌파... 골드만삭스, 목표가 3300달러로 상향
국채 금값이 3100달러를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금값 목표치를 기존 3100달러에서 330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관세,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충격 [Bloomberg]
트럼프, 내달 3일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3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정책으로 소비자 선택권 축소와 자동차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멕시코, 미국과 자동차 부품 관세 우대 협상 진행 중
멕시코는 미국과 자동차 부품 및 기타 품목에 대한 관세 우대 협상을 진행 할 예정으로 4월에 시행 될 자동차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일본 총리 "미국 자동차 관세에 모든 대응 옵션 검토"
일본 총리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모든 대응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한 일환으로 평가된다.
주식시장 혼조세, 관세 우려 속 변동성 확대 [CNBC]
미국 주식시장 혼조... 트럼프 관세 발표 영향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차 관세 발표 이후 미국 주식시장은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 S&P500은 -0.3%, Nasdaq100은 -0.6% 하락했다.
아시아 시장도 하락... 중국은 강세 유지
아시아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으며, 일본 니케이225는 -0.6%, 한국 코스피는 -1% 하락했다. 반면, 중국 CSI300은 +0.33% 상승하며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GameStop, 비트코인 투자 계획 발표 후 급락
GameStop은 비트코인 구매를 위해 전환사채 발행 계획을 발표한 이후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7% 이상 급락했다.
▶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다면? - 주식 공부하러 가기 (https://discord.gg/QhnNzfug)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실업률과 GDP성장률에서 경기의 견조함과 회복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을 나오며 관세 정책으로 인한 악재를 더 크게 반영하며 하락했고, 여전히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채 입찰 또한 지지부진하게 나오며 금리상승을 보이며 하락에 더 영향을 주었습니다.
여전히 안 좋은 투자심리에 증시의 반등세는 약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기조가 최소한 4월달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는 것을 보고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증시는 또한 미국시장의 약세의 영향으로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1500개가 넘는 종목이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던 하루였지만, 긍정적인 부분은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수급이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발 레거시 반도체 수요에 더욱 강한 흐름이 보여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으로 좋았던 조선, 방산은 약세를 계속 이어갔지만, 중국 시장의 영향으로 엔터와 미용기기는 강한 지지를 보여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보수적으로 자금을 투입하며 이런 시기에 강한 지지와 향후 가이던스와 펀더멘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업을 모아가는 시간으로 가지면 좋겠습니다.
한 주간 고생하셨고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3월 4주차 매크로 전략
지난 주 미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발표와 함께 물가지표에 대한 우려감이 한층 해소되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트럼프 정책에 따른 등락이 반복되는 구간에서는 여전히 변동성에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미 소비자물가지수 둔화에 나스닥 1.22% 상승>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98929&ref=A
특히 이번 주는 미국 FOMC회의가 진행될 예정으로 현재 시장 전망으로는 금리 동결이 예상되면서 이번 주 FOMC회의 이후 증시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뉴욕증시] FOMC, 엔비디아 GTC에 촉각>
https://www.fnnews.com/news/202503160417377621
유가의 경우 WTI 기준 67달러로 지정학적 우려감 해소와 더불어 트럼프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큰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율의 경우 현재 달러/원 1,450원에서 횡보하고 있으나 최근 반도체를 비롯해 국내 기업들로 수급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추가적인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국내 증시의 경우 미증시 흐름 대비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반도체 업황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반도체 섹터로 유의미한 수급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FOMC 앞두고 코스피 2600선 회복할까…"반도체·유통株 주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446246
이와 함께 4분기 호실적을 보였던 방산, 조선, 전력기기, 에너지, 미용의료기기 등의 섹터도 반등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섹터의 경우 트럼프 정책 등의 수혜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계속해서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다만, 3월말 공매도 재개 스케줄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단기 조정이 나타날 수 있으나, 결국 실적주 중심으로 수급이 유입되면서 빠른 반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기에 단기 조정을 기회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역대 최장' 42일간 코스피 폭풍매수한 연기금…더 살까 그만 살까>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4158800008?input=1195m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요 일정 Check Point]
🗓 25.03.28 증시 주요 일정 및 코멘트
✅ 국내
현대차그룹, 개발자 컨퍼런스 Pleos 25
크래프톤, 신작 '인조이' 스팀 얼리억세스 출시
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출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2025년 토지·주택 공급계획 설명회
효성화학, 베트남법인 지분 매각 검토 보도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발표
스팩합병 상장 : 우양에이치씨
상장폐지 : KB제26호스팩, MIT
추가상장: 손오공, 바이오플러스, 투비소프트, 아이엘사이언스, 아이텍, 케이피에스, 바이젠셀, 제이스코홀딩스
보호예수 해제 : 지엘팜텍
✅ 해외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요약본
日) 3월 도쿄지역 소비자물가지수(CPI)
日) 2월 건설수주
日) 2월 신규주택착공건수
유로존) 3월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독일) 3월 실업률(현지시간)
독일) 4월 GFK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영국) 2월 소매판매(현지시간)
영국) 4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현지시간)
영국) 4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영국)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美) 3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확정치(현지시간)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美) 2월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출(현지시간)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현지시간)
JD밴스 美 부통령 그린란드 방문(현지시간)
👉 일정 코멘트
1. 관세와 무역 갈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계속되는 가운데 오늘 밤 발표될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출, 소비심리 지수 등 물가 관련 지표가 불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을지 확인 필요
2. 특히 국내 증시의 경우 정치적 변수에 계속 크게 반응하는 흐름 나타나고 있는만큼 尹대통령의 탄핵심판 기일 확정이 나오는지 지속 체크 필요
3. 일정 상 다음 주 상호관세 부과, 연준의사록 공개, 대통령 탄핵심판기일 등 주요 이벤트 겹치며 그 때까지 부진한 상황 이어갈 가능성 염두한 운용 필요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미국 증시 #미국시황 #아침시황 #쵸빗시황
'주식 정보방 >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1(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4) | 2025.04.01 |
---|---|
2025.03.31(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2) | 2025.03.31 |
2025.03.27(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4) | 2025.03.27 |
2025.03.26(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1) | 2025.03.26 |
2025.03.21(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6)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