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1(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비 4.2%↑... 예상 대폭 상회
미국 2월 경기선행지수, 전월비 0.3%↓... 3개월 연속 하락
미국 주간 실업수당청구 22.3만건... 예상 하회
📝 주요 경제동향 요약
미국증시, 강력한 주택지표에도 지정학 리스크에 하락 마감
[뉴욕, 2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무역전쟁 관련 경제적 우려를 축소한 지 하루 만에 발표된 강력한 주택시장 지표에 힘입어 개장 초 상승세를 보였으나, 장중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가 재차 고조되면서 하락 전환했다. 이날 S&P500 지수는 0.2%, 나스닥100 지수는 0.3% 하락했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0.03% 하락하며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개장 전 발표된 기존주택판매 지표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고 필라델피아 연준의 고용지표 또한 호조를 보이면서 투자심리를 개선시켰지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휴전협상 중에도 국지전을 지속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위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그들과 잘 지내고 있다"고 언급하며 긴장 완화에 나섰지만 시장의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했다.
업종별로는 주요 기업들의 혼조된 뉴스가 이어졌다. 애플은 Siri 기능 강화를 위한 임원진 개편을 단행했고, 메타(Meta)는 유럽 시장에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을 밝혔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외장패널 결함 문제로 약 4만6천대 규모의 리콜을 결정했으며, GM은 현대자동차와 전기 상용밴 모델 공유 협력 계약이 임박했다고 발표했다.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나이키는 중국 지역 매출 감소 여파로 시간 외 거래에서 4% 이상 하락 중이며, 반면 데이터센터 수익이 전년 대비 세 배 증가한 마이크론은 시간 외에서 2.9%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결정이 잇따랐다. 중국 인민은행과 영국중앙은행(BOE)은 기준금리를 동결했고, 스위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인하했으나 향후 긴축 가능성을 열어두며 매파적 동결 입장을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라가르드 총재는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EU 무역 책임자 세프코비치는 미국에 대한 첫 번째 상계 관세 부과 시기를 당초 계획보다 늦춰 오는 4월 중순으로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4월 2일이 미국 해방의 날이 될 것"이라며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연준의 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 정부가 이란 관련 신규 제재를 발표하면서 국제유가는 상승했고 달러화 가치도 강세를 나타냈다. UAE 국부펀드 ADQ는 미국 사모펀드 ECP와 데이터센터 전략 생산 분야 투자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장 변동성 지수인 VIX지수는 19.8포인트로 하락했으며,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3.19%로 축소되었다. 10-2년물 국채금리 스프레드는 0.271포인트로 확대되었고, 10-3개월물은 -0.059포인트로 축소되었다. FedWatch는 전일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이날 MSCI 한국지수는 -0.89%, 야간선물은 -0.57%로 하락 마감했다. 주요국 ETF는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미국 2월 기존주택판매 강세 /경기선행지수 3개월 연속 하락 [Market Watch]
미국의 2월 기존주택판매가 전월 대비 4.2% 증가한 연율 426만 건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 주택 공급 증가와 안정된 모기지 금리가 잠재적 수요를 자극한 결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같은 달 경기선행지수(LEI)는 전월 대비 0.3% 하락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향후 경기 둔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만3천 건으로 예상치(22만4천 건)를 소폭 하회하며 고용시장의 견조함을 재확인했다.
트럼프-푸틴 휴전 협상 앞두고 시장 혼조 / 미국 경제성장 전망 하향 [Bloomberg]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이 임박한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소비자와 기업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있으며, BNP파리바 등 주요 기관들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잇따라 하향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알파벳(Google)은 클라우드 보안 기업 Wiz 인수를 위해 재협상 중이며, 중국 전기차 업체 BYD는 초고속 충전 기술을 탑재한 신차 라인업을 공개했다.
독일 의회는 수천억 유로 규모의 국방 및 인프라 투자 패키지 승인을 앞두고 있다.
영란은행 금리 동결 / JP모간 "관세 인플레 영향 제한적" [Reuters]
영국 중앙은행(BOE)이 기준금리를 현행 4.50%로 동결하면서도 매파적 기조를 강화했다. BOE는 글로벌 무역 긴장과 경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당분간 금리 인하 기대를 경계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JP모간은 최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파이퍼샌들러는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기존 500달러에서 450달러로 하향 조정했으며, 주요 원인으로 공장 가동 중단과 모델 Y 생산 전환에 따른 단기적 생산 차질을 지목했다.
▶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다면? - 주식 공부하러 가기 (https://discord.gg/QhnNzfug)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경기선행지수의 하락과 더불어 러-우 지정학적 이슈가 다시 부각되면서 반등을 되돌리며 하락마감 했습니다.
4월달에 무역 정책 시행되는 때가 기점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그때까지는 방향성에 혼조를 보이며 하락과 상승의 변동성을 보일 것 같습니다. 상승장에서 가장 두렵고 흐름을 바꿀 수 있는 것은 경기침체라고 하며 이를 우려한 시장의 방향성에 계속 의문을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그에 유가와 달러도 오늘 상승을 보였습니다. 이후 채권 금리와 유가, 달러, 금 등의 추이를 잘 지켜보며 투자에 대응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국내증시는 전일과 마찬가지로 반도체 중심으로 코스피는 상승을 바이오의 부진으로 코스닥을 하락을 보였던 하루였습니다. 여전히 국내증시는 지지부진한 흐름에서 일부 기업만의 상승에 대부분 그 수혜를 보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올해의 국내 증시의 방향성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되고 이를 계속 지켜봐야겠지만, 한번 이상은 조정을 보이며 가지 않을까 생각되기에 이를 주의하며 꼭 중간에 수익이 되는 종목의 현금 마련도 필요해보입니다.
조금만 더 욕심을 버리고 천천히 길게 갈 수 있는 전략으로 대응하면 좋겠습니다.
암호화폐 또한 하락에서 반등하는 듯했으나 아직 크진 않고 이 때가 다시 기회의 시간이 였는지는 향후 보여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주 고생하셨고 한 주 잘 마무리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3월 4주차 매크로 전략
지난 주 미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발표와 함께 물가지표에 대한 우려감이 한층 해소되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트럼프 정책에 따른 등락이 반복되는 구간에서는 여전히 변동성에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미 소비자물가지수 둔화에 나스닥 1.22% 상승>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98929&ref=A
특히 이번 주는 미국 FOMC회의가 진행될 예정으로 현재 시장 전망으로는 금리 동결이 예상되면서 이번 주 FOMC회의 이후 증시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뉴욕증시] FOMC, 엔비디아 GTC에 촉각>
https://www.fnnews.com/news/202503160417377621
유가의 경우 WTI 기준 67달러로 지정학적 우려감 해소와 더불어 트럼프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큰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율의 경우 현재 달러/원 1,450원에서 횡보하고 있으나 최근 반도체를 비롯해 국내 기업들로 수급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추가적인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국내 증시의 경우 미증시 흐름 대비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반도체 업황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반도체 섹터로 유의미한 수급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FOMC 앞두고 코스피 2600선 회복할까…"반도체·유통株 주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446246
이와 함께 4분기 호실적을 보였던 방산, 조선, 전력기기, 에너지, 미용의료기기 등의 섹터도 반등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섹터의 경우 트럼프 정책 등의 수혜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계속해서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다만, 3월말 공매도 재개 스케줄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단기 조정이 나타날 수 있으나, 결국 실적주 중심으로 수급이 유입되면서 빠른 반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기에 단기 조정을 기회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역대 최장' 42일간 코스피 폭풍매수한 연기금…더 살까 그만 살까>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4158800008?input=1195m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요 일정 Check Point]
🗓 2025년 3월 셋째 주 증시 주요 일정 및 코멘트
17일 (월)
美) 2월 소매판매(현지시간)
넥스트레이드, 110개 종목으로 확대
엔비디아 GTC 2025 개최(현지시간)
바이오 유럽 스프링 개최
韓·中 디스플레이 관련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최종 결론
글로벌 제약바이오 네트워킹 행사 '디캣 위크'(현지시간)
엔믹스, 네 번째 미니앨범 발매
농심, 라면·과자 17종 가격 평균 7.2% 인상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DC) 개최(현지시간)
美) 3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美) 1월 기업재고(현지시간)
中) 2월 주택가격지수
中) 2월 실업률
中) 1~2월 산업생산
中) 1~2월 고정자산투자
中) 1~2월 소매판매
18일 (화)
IPC APEX EXPO(현지시간)
美) 2월 산업생산(현지시간)
AWS 유니콘 데이
美) 2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美) 2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美) 20년 만기 국채 입찰(현지시간)
유로존)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독일) 3월 ZEW 경기기대지수(현지시간)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1일차
日) 1월 3차산업지수
19일 (수)
美) FOMC 회의 발표(현지시간)
앤스로픽, '코리아 AI 빌더스 서밋' 개최
크래프톤, 인조이 글로벌 온라인 쇼케이스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유로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日) 1월 산업생산(수정치)
日) 1월 핵심기계류수주
日) 2월 무역수지
20일 (목)
美) 2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실적발표(현지시간)
美) 페덱스(FedEx) 실적발표(현지시간)
中) 3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일본 증시 휴장
이재명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회동
HLB, 美 FDA 신약 허가 최종결정 시한(현지시간)
유럽폐암학회(ELCC) 초록 공개(현지시간)
美) 3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美) 4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美) 2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美) 나이키 실적발표(현지시간)
독일)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영국) 영란은행(BOE) 기준금리결정(현지시간)
영국) 1월 실업률(현지시간)
대만) 중앙은행 기준금리결정
21일 (금)
美)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현지시간)
삼성디스플레이-BOE '영업비밀' 분쟁 예비결정(현지시간)
2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유로존) 1월 경상수지(현지시간)
영국) 2월 공공부문 순차입/순상환(현지시간)
영국) 3월 GFK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中) 2월 외국인 직접 투자
👉 일정 코멘트
1. 엔비디아 GTC 2025 행사 관련 반도체, 로봇 등 업종으로 수급 유입 이어지는지 체크해볼 필요
2. 추가로 재무부의 채권발행 또한 계속 이어질 예정인만큼 주가지수의 상승보다는 하락 가능성에 무게(통상 채권 입찰 시기는 채권수요 강세로 주식으로 수급 약화)
3. 끝으로 금요일 미국 네 마녀의 날, 그리고 BOJ와 FOMC 등 매크로변수도 상존해있는 상황인 만큼 보수적 대응 전략 유지 필요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Daily News - 03/21(금)
🗞 #반도체/#디스플레이/#IT
✅올들어 주가 22% 오른 마이크론, 실적 호조…시간외 3% 상승
https://m.mt.co.kr/renew/view.html?no...
✅6만원 넘어선 삼성전자, 7만원 돌파도 문제 없다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
✅‘사즉생’ 외친 삼성 vs HBM4 선수친 SK…차세대 HBM 경쟁 가열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
✅삼성 초격차 복원 속도···브로드컴에 HBM3E 공급 초읽기 [biz-플러스]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HBM 호황 올라탄 SK하이닉스, 7조 빚 갚고 실탄 충전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작년 삼성 HBM '승인'했던 젠슨 황, 올해는 "GDDR7 최고!' [GTC 2025]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 #자동차/#2차전지/#로봇/#기계
✅월가 최대 테슬라 강세론자조차 “테슬라 지난 3개월 끔찍…머스크 변해야” 비판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단독] 배터리 소재 기업 엔켐, 새 공장 캐나다서 미국으로 ‘급선회’
https://www.hani.co.kr/arti/economy/m...
✅루시드의 도전과 기회 ① 모간스탠리의 투자의견 상향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
✅무뇨스 “신형 전기차 21종·하이브리드에 900억달러 투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EU, 중국 전기차 업체 BYD에 칼끝…역외 보조금 의혹 조사
https://newsmailer.einfomax.co.kr/vie...
✅"중국 '1조5000억' 쏘는데 한국은…" 충격 실상에 결국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S&P, SK이노 신용등급 'BBB-' 유지…"이차전지·화학 부진 부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소비재/#유통/#엔터/#게임/#레저
✅내달 압구정에 파이브가이즈 7호점 문 연다…김동선 공격경영
https://v.daum.net/v/20250320152523295
✅게임산업법 개정안 국회 통과 '게임물 내용수정 신고 의무 완화'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적수 없는 쿠팡, 스마트물류센터 투자로 격차 벌리기 '총력'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오아시스마켓, 작년 매출·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
https://tinyurl.com/22xmdzy4
✅고물가·경기불황에…편의점, '초가성비' 앞세워 고객 잡는다
https://tinyurl.com/22vhwqfy
✅테무, 김포에 대규모 물류센터 확보…중국 이커머스 中 처음
https://tinyurl.com/2c2g6yad
✅랑콤·키엘·입생로랑…3월부터 면세점 화장품 줄인상
https://tinyurl.com/2by6dw9k
✅“불황이 뭐에요?”… 토종 애슬레저 브랜드, 해외 공략 ‘가속’
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
✅엔터테인먼트 폰트 수요 급증…산돌, 아·태평양 고성장 기업 3년 연속 선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보이면 바로 쟁여야 해" 후기 쏟아져…또 나온 '품절 대란' 아이템[써보니]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 #우주/#방산/#조선/#에너지/#바이오/#철강/#화학
✅국제유가, 미국 이란산 원유 신규 제재에 상승...WTI 1.64%↑
https://www.etoday.co.kr/news/view/24...
✅금감원, 한화에어로 3.6조 유상증자 중점심사…"최대한 빨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통합 출범 이래 첫 적자' 한화솔루션···태양광 사업 리스크 시험대 [The SIGNAL]
https://www.hansbiz.co.kr/news/articl...
✅현대글로비스, 1분기 호실적으로 주가 반등 기대 [한국투자증권]
https://www.businessplus.kr/news/arti...
✅'해외 수주 확대' 대우건설, UAE 은행서 1.5억달러 조달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HLB 간암신약 FDA 허가 또 불발..."보완요청서 수령"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에이비온, '바바메킵' 러시아 제약사와 기술수출 '초읽기'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美, 알래스카 석유·가스 개발 확대…LNG 파이프라인 규제 해제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 #사회/#정부/#부동산/#일반/#기타
✅[통계로 보는 부동산] 경기 아파트 거래 1만건 육박...인기지역 '꿈틀', 기대감 상승
https://www.ajunews.com/view/20250318...
✅규제 확 풀린 오피스텔, 비아파트 외면 속 민간 공급 활성화 ‘의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카드론 잔액 43조 육박 ‘역대 최다’ 경신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하루만에 3억 ‘뚝’…뒤집힌 토허제에 ‘잠삼대청’ 급매 쏟아졌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
🗞 #해외 #글로벌
✅[이 시각 세계] 미국 달걀값 폭등에 한국산 수입 확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미국 “멕시코 쪽으로 강물 공급 거부, 멕시코가 협상 조건 안 지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트럼프 “우크라와 희토류 광물협정 곧 서명”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부자들의 투자노트] 골드만삭스 "관세 여파로 경기침체 가능성 커져"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EU 정상회의, ‘우크라 지원’ 합의 못해…‘종전특사 뽑자’ 제안에 외교안보 대표 ‘난 뭐냐’ 언성도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뉴욕증시, 반등 하루 만에 하락…엔비디아, 양자컴 발표에 상승
https://stockinfo7.com/news/pick/url/...
✅EU, 대미 보복관세 1단계 시행 연기…美 관세 대응 주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










#미국 증시 #아침 시황 #쵸빗 시황
'주식 정보방 >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27(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4) | 2025.03.27 |
---|---|
2025.03.26(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1) | 2025.03.26 |
2025.03.20(목)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2) | 2025.03.20 |
2025.03.19(수)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5) | 2025.03.19 |
2025.03.18(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13)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