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2025.06.02(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쵸빗 2025. 6. 2. 08:16


2025.06.02(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4월 PCE 물가 전년대비 2.1%↑... 예상 소폭 하회
미국 5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52.2... 5년 기대인플레 4.2%

 

 

📝 주요 경제동향 요약

 

미·중 무역 갈등 속 5월 증시, 강세 기록…시장 반등과 자산별 혼조세

[뉴욕, 5월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무역 협정 위반을 강하게 비판한 이후, 글로벌 증시는 이달 말 구간에서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그러나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를 예상한다고 밝히며 시장은 저점에서 반등에 성공했다.

S&P500 지수는 일중 1.2% 하락분을 모두 만회하며 상승 전환에 성공했고, 결과적으로 1990년 이후 가장 강력한 5월 성과를 기록했다. 반면 채권시장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며, 미국 국채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월간 기준 하락세를 기록했다. 달러화 역시 6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긴 하락 기간이다.

지수별로는 S&P500이 약보합세로 마감했고, Nasdaq100 지수는 0.15%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3% 상승 마감했다. 주요국 상장지수펀드(ETF)는 혼조세를 나타냈으며, MSCI 한국지수는 1.89% 하락했고, 야간 선물도 0.4% 하락 마감했다.

미국의 대중국 기술 규제 강화 우려에 따라 Nvidia, Micron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는 약세를 나타냈다. 반면, Apple은 4월 중국 내 판매량 회복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며 주가가 반등했다.

에너지 시장에서는 OPEC+가 오는 토요일 회의에서 7월 원유 생산량을 하루 41만1천 배럴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유가는 하락 압력을 받았다. 이와 함께 미국의 3월 원유 생산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점도 유가 약세를 부추겼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경제 지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 폭은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개인 소득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세도 주춤하면서 미중 관세 갈등 속에서도 소비 심리가 점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 경제가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무역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희토류 등 핵심 자원 협상 진전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이 발언은 최근 미 법원의 상호 관세 판결과 트럼프 행정부의 항소, 그리고 전일 베센트 재무장관의 협상 교착 발언 이후 나온 것으로, 관세 관련 불확실성을 다시 증폭시켰다.

한편, 연기금은 월말 리밸런싱 차원에서 약 200억 달러 규모의 주식을 정리한 것으로 발표됐다. 이는 시장에 일시적인 매도 압력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변동성 지수(VIX)는 18.57포인트로 하락했고,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3.22%로 축소됐다. 미 국채 10년물과 2년물 간 금리 스프레드는 0.503포인트로 확대됐으며, 10년물과 3개월물 간 스프레드는 0.057포인트로 소폭 축소되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FedWatch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시장 기대는 전일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미국 4월 PCE 물가, 7개월래 최저…소비심리 개선은 제한적

[Reuters]

미국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전년 대비 2.1% 상승하며 7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 2.3% 상승에서 둔화된 수치로, 근원 PCE 역시 2.5%로 2021년 3월 이후 가장 낮았다.

소비자들은 관세 등 불확실성에 대비해 저축을 늘리고 있으며, 5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는 52.2로 전월과 동일해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2%로 집계됐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데일리 총재는 "PCE 지표가 안도감을 주지만, 완전한 신호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중국, 제네바 합의 위반”…JP모간 CEO “미국 채권시장에 균열 임박”

[Bloomber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최근 제네바에서 합의한 관세 완화 협정을 위반했다고 비판하며, 시진핑 주석과 직접 대화할 것임을 밝혔다.

JP모간체이스 제이미 다이먼 CEO는 미국 정부의 과도한 재정지출과 연준의 완화적 정책이 채권시장에 균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이먼은 "채권시장 위기가 6개월 뒤일지 6년 뒤일지 알 수 없지만, 현재의 부채 증가 추세가 지속되면 반드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이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의회의 부채한도 증액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50%로 인상…머스크 "정부 정책 전부 책임질 수 없어"

[CNBC]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건에 대해 "인수가 아닌 투자"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외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제조업 보호와 공급망 강화 차원에서 단행된 조치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무역 긴장 재점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일론 머스크는 "정부가 하는 모든 일에 책임을 지고 싶지 않다"며, 최근 통과된 대규모 재정지출 법안이 정부 효율화 노력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희토류 관련해서 다시 중국이 번복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미국 재정 부채 증가와 신용도 하락이 증시 상승에 수익실현 매물과 하방 압력을 더욱 키우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최근 조정을 겪으며 5월에서는 상승 마감했지만 향후 증시 추가 상승에 대한 여력이 다소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연준 또한 금리인하 가능성이 다소 일축되면서 7월 또한 금리동결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런 여러 상황에 암호화폐도 조정이 나오며 부진한 흐름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잠시 쉬어가는 타이밍과 조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겠습니다.
 
한국 증시는 이번주에 있는 대선 관련으로 저 PBR 관련된 자사주 위주로의 상승 흐름이 주로 나왔으며, 미국 시장의 영향으로 상승흐름에서 다소 부진한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다만 대선 이후 국내 증시 상승 가능성을 높이 보고 있고, 이에 외국인 수급이 들어온다면 추가 상승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다만 아직 남아 있는 악재 이슈로 인해 급락이 거듭 할 수 있기에 변동성에 유의하며 원칙에 의한 투자를 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이번 주는 휴일이 많은 관계로 3거래일만 증시가 진행되기에 수급의 영향이 다소 부진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늘도 힘내시고 활기찬 아침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강세장은 비관 속에서 태어나 회의 속에서 자라며, 낙관 속에서 성숙해 행복 속에서 죽는다."
(Bull markets are born on pessimism, grow on skepticism, mature on optimism, and die on euphoria)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린이를 위한 주식 공부 Start! (주식 계좌 개설 및 투자 경제지표 활용법)

 


 

 

✏️6월 1주차 매크로 전략



지난 주 미증시는 PCE 발표에 따른 물가지표 안정화에도 불구하고 미중 관세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소폭 조정을 보이며 마무리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주말 사이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상 관련 내용이 나오면서 이번 주 역시 트럼프 관세에 대한 투자자들의 시선이 쏠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50% 인상”…4일부터 발효>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200519.html

다만, 4월에 실시된 관세 정책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물가 지표 우려감 상승 및 금리 인하 지연이 부각된 구간이기에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강하게 실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단기 변동성에서도 미중 관세에 대한 추가적인 협상에 따라 반등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중, '관세 합의' 이행 이견…트럼프 "시진핑과 대화하겠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800650

이번 주는 월요일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화요일 파월 의장 연설 및 JOLTs 보고서 발표 등 다수의 주요 스케줄이 예정되어 있으나, 트럼프 관세 정책이 재점화된 구간에서 지표 발표에 따른 시장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트럼프의 관세 정책 관련 발언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며 대응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美 고용 '경고등' 켜질까…월러·파월 등 재료 봇물>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8393

유가의 경우 WTI 기준 60달러 수준으로 OPEC의 증산 소식이 나오면서 일부 하락이 나탔으나 셰일 업체들의 감산 소식 등을 고려했을 때 유가 변동성은 다소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OPEC+, 7월에도 41만1000배럴 증산...3개월 연속>
https://www.etoday.co.kr/news/view/2475420

환율의 경우 현재 1,382원으로 지난 주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에 따른 한미금리차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트럼프 정책 및 대선에 따른 정치적 우려감 완화로 재차 안정된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美 관세 제동 여파 계속, 변동성 확대 될듯...달러·원 1360~1400원 전망>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294
최근 국내 증시의 경우 조선, K뷰티 등 1분기 호실적을 보인 섹터들을 중심으로 수급이 유입되는 가운데 계속해서 실적주 중심의 움직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더불어 이번 주 화요일 대선 스케줄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대선 결과에 따라 신재생, 원전, 지역화폐, 에너지고속도로, 상법개정 등의 정책 관련주들을 중심으로 움직임도 함께 나타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 관련주들의 흐름은 계속해서 코멘트로 드릴 예정이며, 2분기 실적주와 함께 정책 수혜 관련주들은 계속해서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방산·원전주 올라탄 외국인, 금융주 매집한 기관 '高수익'>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0189871

  
[주요 일정 Check Point]

 
🗓 25.06.02 증시 주요 일정 및 코멘트

✅ 국내
러시아-우크라이나 2차 협상(현지시간)
美 정부, 한국·일본·대만 초청 액화천연가스(LNG) 관련 회의(현지시간)
배민클럽·티빙 결합상품 출시
드림어스컴퍼니, SK스퀘어 동사 경영권 매각 관련 보도에 대한 조회 공시 답변 재공시 기한
4월 온라인쇼핑동향
신규 상장 : 키스트론
상장폐지 : 삼성스팩7호, IBKS제20호스팩
추가상장 : 알파녹스, 옵티코어, 딥노이드, 엑스페릭스, 캐리, 나인테크, 한울소재과학, HLB생명과학


✅ 해외
중국 증시 휴장
日) 1분기 자본지출
日) 5월 제조업 PMI 확정치
유로존) 5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독일) 5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영국) 5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영국) 4월 협의통화 및 준비잔고(현지시간)
美) 5월 ISM 제조업지수(현지시간)
美) 5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美) 4월 건설지출(현지시간)

👉 일정 코멘트
1. 최근 2분기 마지막 채권 발행일정 앞두고 다시 강도 높아지는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글로벌증시는 변동성 이어가는 중 
2. 한편, 이번 주 국내증시는 가장 큰 이벤트 중 하나인 대선과 현충일 연휴를 앞두고 관망세 이어지는 가운데 지수는 박스권, 업종, 종목간 변동성은 크게 나타날 수 있는 구간
3. 특히 최근 강세보이는 내수소비재, 지주사, 저PBR 업종과 기존 주도주였던 조선, 방산, 원전 등 업종간의 수급 변화 나타나는지 계속해서 체크해볼 필요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Daily News - 06/02(월) 

🗞 #반도체/#디스플레이/#IT
신성이엔지, 삼성전자 투자 확대 따른 수주·실적 개선 '주목'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

[IT썰] 구글, 아이오와주 10조 투자…AI 시대 미국 혁신 이끈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

"삼성, 3년째 정체" 中 스마트폰 조롱에…"그게 정체성" 전문가 쓴소리
https://m.mt.co.kr/renew/view.html?no...

[외신 헤드라인] TSMC, UAE에 초대형 반도체 공장 검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깜짝실적' 엔비디아…'블랙웰'과 더 날아갈까[서학망원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자동차/#2차전지/#로봇/#기계
동원시스템즈, 이익 성장 본격화…"PBR 1배 주목"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

‘전기차 배터리 용량 3배’ 전지 탄생… 탄소제로 전기비행기 뜰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UAM 기체 못 구해 국내 개발 올스톱… "군용 추진으로 돌파구 마련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K-배터리, '中 주도' LFP 대항마 LMR 제품 상용화 '속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희토류 파워…'中 이래서 트럼프 상대로 큰소리 쳤구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자동차판 헝다 사태' 터지나…中 "출혈경쟁 단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LG엔솔, 美서 ESS용 LFP 배터리 양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미·중 핵심광물 패권 다툼…콩고 리튬 프로젝트서 격돌
https://m.g-enews.com/ko-kr/news/arti...

“100원 부품 팔면 20원 손해” ...美 관세 폭탄에 車 부품사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폭스바겐 딜러사 품은 손오공, 최대주주 변경으로 실적 모멘텀도 고조
https://v.daum.net/v/20250602060119109

🗞 #소비재/#유통/#엔터/#게임/#레저
"456번, 아직도 사람을 믿나"…LA서 공개된 '오징어게임3' 예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LG생활건강 '바이 오디-티디', 다이소서 100만개 판매 돌파
https://www.newsroad.co.kr/news/artic...

먹거리만 파는 건 한계…편의점, 옷 장사 뛰어들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매출 70%가 불닭"···삼양식품, 신기록 행진 속 넥스트 먹거리 '고심'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

K뷰티 이끄는 에이피알, 주주도 웃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중동 모래바람도 뚫었다…CJ대한통운, 글로벌 물류허브 가동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우주/#방산/#조선/#에너지/#바이오/#철강/#화학
원전·방산株 가파르게 상승… 코스피 시총 순위 ‘지각 변동’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트럼프 중국산 견제에…美시장 노리는 K-UPS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전기의 시대…전력 인프라 시장에서 금맥 찾기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

세아베스틸지주, 新성장동력 본격화에 따른 외형성장 기대
https://www.ferrotimes.com/news/artic...

만들면 팔리던 시대 끝…밀려난 석화의 운명
https://theviewers.co.kr/View.aspx?No...

중국에 해양패권 뺏길라…美, K-군함 '러브콜' 이유는?
https://m.edaily.co.kr/news/read?news...

우주항공청 ‘차세대 발사체’, 스페이스X 로켓 형태로 변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단독] 지아이이노베이션 "L/O 협상 순항중…에셋 쪼개, 추가 모멘텀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

에너지부처 신설 공약에 재생e 업계 ‘환영’… “통합 컨트롤타워 기대”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

[희토류 대란] 전 세계 희토류 생산, 5대 ‘지배권 구역’으로 재편…“냉전식 자원 블록화 현실화”
https://m.g-enews.com/ko-kr/news/arti...

"美서 '잭팟' 노린다"…K-바이오, 이달 '바이오 USA' 출격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추가 인상… 상상인證 “국내 철강업계 타격 불가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美 의약품 관세ㆍ약가 ‘갈팡질팡’ … 韓 제약업계도 ‘싱숭생숭’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

“한국, 어디로 가야 하나요”…美 관세폭탄에 울고 中 국산화에 진퇴양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체코 원전 수주, 되레 한국에 손실 우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OPEC+, 하루 41만1000배럴씩 증산… 공급 과잉 우려 커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사회/#정부/#부동산/#일반/#기타
[스타트경제] 대선 D-1...각 후보 경제 공약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3단계 시행 앞둔 DSR…효과보다 부작용 우려”
https://m.dnews.co.kr/m_home/view.jsp...

🗞 #해외
중국, 미국에 대만 문제로 '불장난' 하지 말라고 경고
https://www.aljazeera.com/news/2025/6...

美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사법부 제동에도 상호관세 지속 가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트럼프 “관세 반대는 미국 경제 파멸”…측근들도 “관세 안 사라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아서 헤이즈 "BTC, 美 부양책·유동성 공급으로 올해 $25만 돌파 가능"
https://www.tokenpost.kr/news/breakin...

[속보] 하마스"새로운 가자 정전회담 당장 재개할 준비돼 있다" 발표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

일론 머스크 "X에 비트코인 스타일 암호화 적용 채팅 기능 출시 예정"
https://www.tokenpost.kr/news/breakin...

협상 하루 앞두고 러-우크라 드론 맞공습 격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美재무 "트럼프, 시진핑과 곧 통화…무역합의 위반 해결될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001/...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