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2025.04.07(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쵸빗 2025. 4. 7. 08:45


2025.04.07(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3월 비농업고용 22.8만명... 3월 실업률 4.2%로 예상 상회
중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 맞불 관세"
나스닥 약세장 진입... 엔비디아 100달러 붕괴 / 테슬라 -10% 하락

 

 

📝 주요 경제동향 요약

 

글로벌 금융시장 대혼란 : 관세 갈등과 경제 둔화 우려로 주식 폭락, 채권 강세

[뉴욕, 06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키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연준이 장기적인 영향이 더 명확해질 때까지 금리 조정을 유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노동 시장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경제에 대한 우려를 심화시키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다. 주식 시장은 급락했고, 채권은 상승했으며, 유가는 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금요일, S&P500은 -5.9% 하락하며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이틀간의 하락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약 5조 달러의 가치가 손실되었으며, Nasdaq100 역시 -6% 넘게 하락해 고점 대비 -22% 급락하며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다. 다우존스 산업지수 평균은 -5.5%, 러셀2000은 -4.4% 하락했다. 반도체 ETF는 2001년 9월 이후 최대 주간 낙폭을 기록했으며, 10년 국채 금리는 4%를 하회했다. 달러는 1% 상승하며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중국과 미국 간 관세 갈등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ByteDance는 미국에서 TikTok을 계속 운영하기 위해 협상 중이라고 인정했지만,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에 대응하며 미국산 전 품목에 대해 34%의 관세를 부과하고 희토류 수출 규제 및 반독점 기업 선정에 착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VIX 변동성 지수는 50% 넘게 급등했으며, 대부분 국가 ETF가 5% 이상 크게 하락했다. MSCI 한국 지수는 -3.52%, 야간선물은 -3.6%로 마감했다.

뉴욕 주식 시장에서는 모든 업종이 크게 하락했다. Nvidia와 Tesla는 각각 -7%, -10% 이상 급락했으며, 중국 생산 및 매출 비중이 높은 애플과 마이크론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인 알리바바와 바이두 역시 급락세를 보였다. 대형 은행들도 타격을 입어 모건 스탠리와 골드만 삭스가 각각 -7% 이상 하락하며 바로미터는 8월 7일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과 "매우 생산적인 전화"를 했다고 밝히며 베트남이 미국과 합의에 도달할 경우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는 의사를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했다. 이로 인해 Nike와 Lululemon 같은 베트남에서 제조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들의 주가는 급반등해 상승 마감했으며, 베트남 생산 기지를 가진 일부 기업들도 낙폭을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번 월가 폭락은 2020년 3월 COVID-19 팬데믹 당시 시장 전체 거래 중단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금요일 S&P500의 폭락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브레이커를 작동시켜 모든 거래가 15분간 중단될 수준인 7% 하락에 근접한 수준이었다.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제레미 시겔은 이번 관세가 1930년 스무트-할리 관세법 이후 최악의 실수라고 경고했으며, SPDR은 빠르면 올해 2분기에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을 주장했다. Cato 연구소는 트럼프 관세 산출 방식에 문제점을 지적하며 실제 가중평균 관세율이 과장되었다고 밝혔다. 그들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가중평균 관세율은 기존 주장치인 50%가 아닌 8.4%, 중국은 67% 대신 3%, 베트남은 90% 대신 5.1%로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시장에서는 변동성 지표인 VIX 지수가 전일 대비 50% 넘게 상승해 45.31%를 기록했고,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크게 증가해 4.01%를 나타냈다. 또한, 국채금리 스프레드도 확대되며 10-2년물 스프레드는 0.354포인트, 10-3개월물은 -0.27포인트로 증가했다. FedWatch는 올해 최대 네 차례의 연방기금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었으나,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인해 최소한 오는 6월까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美 고용 호조에도 관세 충격…나스닥 약세장 진입 [Market Watch]

미국의 3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2만 8천 명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실업률은 4.2%로 나타났으며, 견조한 고용 흐름에도 불구하고 경기 전반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압박에 맞서 4월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무역 갈등 격화는 미국 증시에 즉각적인 충격을 주었으며, 나스닥 지수는 기술적으로 약세장에 진입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는 100달러 선이 붕괴됐고, 테슬라는 하루 만에 10% 넘게 하락하는 등 대표 성장주가 큰 폭으로 무너졌다.


美 재무부 내 권한 재편…시장 IPO 위축과 관세 리스크 부각 [Bloomberg]

미국 재무부의 핵심 통상 전략 결정 그룹에서 베센트 부장관이 배제되면서 시장은 정책의 일관성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냈다. 이와 동시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더하면서, 다수의 미국 기업들이 상장을 연기하고 있다.


Bloomberg에 따르면, 최근 시장의 침체는 단기적인 가격 조정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베센트는 “경기침체를 가격에 반영할 필요는 없다”며 현재 시장이 트럼프의 정책 리스크를 과도하게 저평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실제 투자심리는 위축되고 있으며, 관세 정책이 본격적인 실물경제 충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파월, 관세 장기 악영향 경고…트럼프는 금리 인하 촉구 [CNBC]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관세의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장기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무역 불확실성이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금이 금리 인하에 있어 “완벽한 시기”라고 주장하며 연준에 노골적인 압박을 가했다. 트럼프는 강달러와 고금리가 미국 제조업과 고용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반된 발언이 오가는 가운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심리적 지지선인 4%를 하회하며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를 반영했다. 관세발 충격이 실물과 금융시장 모두에 걸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Comment]
미국 시장은 미국 관세 정책에 중국의 맞불 관세 대응의 소식과 더불어 추가 하락을 보이며 지수가 -5% 이상 빠지며 급락을 보였습니다. 이에 레버리지 투자에 대한 마진콜도 발생화며 하락을 더 크게 불러온 하루였습니다. 유가도 급락하고 시장의 공포지수는 역사상 최하로 빠지기도 하면서 최악의 하루를 보였습니다. 경기침체 확률은 커졌고 몇일 이내에 시장의 불안감은 최고조로 치닫고 있는 시점입니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비트코인과 금 가격 또한 하락을 보이며 현금화 할 수 있는 자금도 빠져나가고 채권 가격만 상승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의 진화가 이루어질 것인지 아니면 계속 지속 될 것인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국내증시는 미국의 하루 하락에 대해서 어느정도 탄핵 결과가 나오며 버텨 주었지만 금요일의 하락으로 인해 오늘 하락폭이 얼마나 될지가 관건이 되었습니다. 많은 좋은 기업들도 크게 하락하는 등 공매도의 영향과 더불어 지수의 큰 폭의 하락이 또 나올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참 어려운 시기입니다. 2021년에 미국 시장의 최고점을 찍고 22년 초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25년입니다. 당시 우-러 전쟁과 더불어 반등을 보이는 듯하였지만 하락장과 약세장이 시작되었고 이를 회복하기 까지 거의 2년 가까이 걸렸습니다. 지금도 무역전쟁으로 치닫는 시장이 경기침체를 유발하여 그 이상의 회복에 시간이 필요할 지 아니면 이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 또한 투자자의 길이기 때문이기에 좋은 경험으로 삼고 잘 해쳐나가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4월 2주차 매크로 전략



지난 주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미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파월 의장은 금리 정책을 고수하기로 밝히면서 여전히 미증시에 대한 변동성이 이번 주에도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1190843.html

이번 주 주요 스케줄로는 목요일 소비자물가지수, 금요일 생산자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는 가운데,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구간에서는 물가지표가 시장 흐름을 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번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치의 경우 YoY 기준 2.6%로 이전 수치 2.8% 대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번 주 발표되는 물가지표보다는 트럼프 관세 정책 영향이 미칠 수 있는 다음 물가지표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시장의 반등이 다소 아쉬운 흐름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뉴욕 증시, 3월 소비자물가지수 촉각>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635791

유가의 경우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감이 반영되면서 WTI 기준 61달러 수준으로 이번 주 역시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환율의 경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확정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구간에 진입하였기에 안정세가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스피 탄핵 뒤 3개월 지나면 반등…이번 관건은 '관세 전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61

최근 한국 증시는 미증시 변동성에 일부 영향을 받고 있으나, 생각보다 하락폭이 미증시 대비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앞서 언급드린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구간에서 우리 증시에 미칠 큰 리스크가 줄어들었기에 조정을 활용한 저점 매수 전략이 조금 더 유효한 구간이라고 판단됩니다

특히 섹터별 흐름을 보면 반도체의 경우 DRAM, NAND 가격 반등이 이어지면서 업황 전환이 가시화된 구간에 진입하였으며, 조선/방산 섹터는 1분기 실적 기대감이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와 함께 관세 정책에 영향이 다소 적은 엔터주들은 중국 공연 재개에 따른 추가적인 모멘텀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며 전력기기, K뷰티, 식품 등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면 충분히 빠르게 반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도체 시장 선행지표' D램 현물가 반등…한달새 13% 상승>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4130400003?input=1195m

<관세 ‘무풍지대’…엔터·게임株로 ‘우르르’>
https://www.mk.co.kr/news/economy/11282881

<"전력기기 업종, 관세 부과 영향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것">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0408005382127

이처럼 미증시의 변동성에 따른 증시 조정으로 산업 흐름과의 괴리율이 상승하고 분할매수 전략에 있어서 분명 속도 조절이 필요한 구간이기는 하나 시장의 변동성을 활용하여 기회로 마련하는 구간임은 틀림없습니다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린이를 위한 주식 공부 Start! (주식 계좌 개설 및 투자 경제지표 활용법)

 


  
[주요 일정 Check Point]

🗓 25.04.01 증시 주요 일정 및 코멘트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Daily News - 04/07(월) 

🗞 #반도체/#디스플레이/#IT
✅메타, 딥시크 대항마 ‘개방형’ 라마4 공개 “저렴하고 더 똑똑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관세 폭탄' 한숨 돌렸더니 USMAC 개정…가전업계 '첩첩산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부장님도, 차장님도 만든 '지브리' 프로필…챗GPT 가입자 478.3%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댄 아이브스 "관세, 美 기술주 뒤처지게 할 것"
https://v.daum.net/v/20250407070001019

✅[기획] 베트남 "네고되나요?" 對美 관세 0% 제시… 韓기업 한줄기 빛
https://www.dt.co.kr/contents.html?ar...

✅트럼프 관세에 해상운임 '뚝'…삼성·LG전자, 수익성 개선 기대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

✅미국·중국·일본으로 이재용과 총수들 '관세 대응' 글로벌 움직임 분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인텔, TSMC와 파운드리 운영 합작사 설립 잠정 합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네이버, AI의 발전은 새로운 기회…서서히 사모으길"-한국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

✅KB증권, 반도체 전망 ‘긍정적’…“TSMC 매도 자금, 유입 가능성 커”
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

✅LG이노텍, FC-BGA 수주 난항…선두주자 '큰 벽'
https://dealsite.co.kr/articles/139473

✅[생생확대경]삼성 파운드리가 가야 할 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자동차/#2차전지/#로봇/#기계
✅車업계, 유럽·신시장서 대격전 예고···트럼프 관세 폭탄에 판도 급변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

✅배터리 핵심 광물 가격 바닥 다졌나…1분기 메탈 가격 하향 안정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현대차 “값 안 올려” 英 재규어 랜드로버 “美수출 중단” 글로벌 기업들 ‘각자도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소비재/#유통/#엔터/#게임/#레저
✅알리·테무, ‘앞다퉈’ 국내 시장 진출 확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연내 완공' 美 조지아공장…CJ푸드빌, 뚜레쥬르 1000개 매장 속도낸다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

✅한진도 주 7일 배송 도입 초읽기…'택배 전쟁' 본격화
https://m.etnews.com/20250404000266?o...

✅"엔터株, 관세 '무풍지대'에 한한령 해제 수혜 기대"-대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중동으로 뻗어나가는 ‘K뷰티’ 스타트업들
https://www.kmib.co.kr/article/view.a...

✅TWS, 21일 미니 3집 발매 기념 쇼케이스 개최…신곡 무대 최초 공개
https://m.globalepic.co.kr/view.php?u...

✅[단독]"관세 나눠내자" 청구서 날아든다…"이러다 적자" K-패션 '비상'
https://v.daum.net/v/20250407065236927

✅美 관세 25% 확정, 들썩이는 K-뷰티..."직·간접적인 영향 불가피"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

🗞 #우주/#방산/#조선/#에너지/#바이오/#철강/#화학
✅K-조선, 2.3조 잭팟 눈앞…美, 중국산 선박 벌금에 韓 '반사이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현대로템, K2 흑표 페루서 첫선…남미 방산 시장 공략 '신호탄'
https://m.g-enews.com/article/Global-...

✅‘비싸서 문제였는데’…美 관세폭탄에 해운업 위축 우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릴리·노바티스·BMS·AZ, 방사성의약품 시장 공략 박차…M&A로 주도권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

✅‘고환율·CAPA 확장’ 삼성바이오로직스, 연매출 5조 신화 ‘가시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

✅셀트리온, 500억원대 자사주 전량 소각··· "주주가치 제고"
https://www.newsway.co.kr/news/view?u...

✅“미국發 관세에 부가가치 10조 손실”…타이어·전자부품·석화 ‘발등의 불’
https://m.mk.co.kr/news/business/1128...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mOS 55개월도 기대…연내 ‘선호요법’ 등재 유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

✅[Weekly 건설·부동산] 현대엔지니어링, 등급 전망 '부정적' 조정..A급 강등 초읽기 등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

✅관세에 흔들린 주식시장… “조선·방산은 선방할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 반등 기대…제품 가격 상승이 관건-DS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하나증권 “현대제철, 2분기부터 판매량 증가, 흑자전환..‘매수’ 유지”
http://kpenews.com/View.aspx?No=3604288

🗞 #사회/#정부/#부동산/#일반/#기타
✅재건축 규제완화법 '일단 스톱'…조기 대선에 눈 돌린 부동산시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보라매칼럼] ‘소화불량’에 걸린 부실PF 정리작업
https://www.koscaj.com/news/articleVi...

✅미, 국내 최대 염전기업 수입 금지조치…"강제노동 확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상호관세' 여파 "일단 지켜보자"…기업들, 美 가격인상 시점 저울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불확실성 줄었지만...韓 경제 '관세 폭탄·경기 침체' 첩첩산중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

✅이재명 이르면 9일 사퇴…대권행보 시작할 듯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블록체인핫이슈] 미국 관세 폭탄에 암호화폐 시장 '출렁'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

✅獨, 美연준 금고속 자국 금괴 1200t 인출 검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해외
✅[주간경제일정] 美 3월 소비자물가 관건…관세에 경기침체 우려 증폭?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상호관세 쇼크] ②中경제·증시 영향, 폭탄관세 영향권 속 투자 안전지대
https://m.newspim.com//news/view/2025...

✅미국 "50개국 협상 요청…상호관세 연기 없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이 시각 세계] 젤렌스키, 미국에 연일 '러 압박' 호소
https://v.daum.net/v/20250407073109514

✅美 공화 경합주 의원들 “관세로 내년 선거 망한다” 위기감
https://v.daum.net/v/20250407072434413

✅[마켓 브리핑] 유럽증시 이틀째 폭락…중국 '맞불' 무역 전쟁 본격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젤렌스키 “러시아, 흑해 미사일 공격…푸틴, 미국 휴전 제안 거부”
https://m.etoday.co.kr/view.php?idxno...

✅[외신 헤드라인] 뉴욕증시 폭락에 마진콜 우려…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日 기업도 '관세 비상'…닛산 美 증산·닌텐도 가격 인상 검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트럼프 "베트남, 대미 관세율 '0'으로 인하 의사 드러내"
https://n.news.naver.com/article/421/...
 

 
#미국증시 #미국시황 #아침시황 #쵸빗시황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