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2025.03.17(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쵸빗 2025. 3. 17. 08:05


2025.03.17(월)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57.9... 2022년 이후 최저
미국 미시간대 5년 기대인플래 3.9%... 1993년 이후 최고

 

 

📝 주요 경제동향 요약

 

미국 주식 시장, 셧다운 우려 해소 속 반등

[뉴욕, 14일(현지시간)] 미국 행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해소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줄어들고 주식 시장이 반등세를 보였다. S&P 500 지수는 대선 이후 가장 큰 폭인 2.1% 상승했으며, Nasdaq 100은 2.5%,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7% 상승했다. 반면, 달러 지수는 0.2% 하락했으며, 금 가격은 0.5% 상승하여 온스당 3,000달러를 웃돌았다.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특히 테크, 에너지, 금융, 임의소비재 업종이 두드러진 강세를 나타냈다. 반도체 지수는 GTC 행사에 앞서 Nvidia의 강세에 힘입어 3% 이상 상승했다. 주요국 ETF도 대부분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MSCI 한국지수는 1.67% 상승, 야간선물은 0.94% 상승으로 마감했다.
그러나 금요일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S&P 500은 4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이는 8월 이후 가장 긴 기록이다. 빅테크 기업들이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Nvidia와 Tesla는 각각 최소 3.8%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3월 미시건대 소비자 심리지수는 예상치를 하회했으며, 기대 인플레이션도 전월 대비 하락하는 등 소비 심리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 벤치마크가 최고치에서 10% 이상 하락한 구간에서 저가 매수 심리가 발동하며 반등세를 보였다.
로이터 통신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는 관세 전쟁이 득보다 실이 많다고 응답했으며, 57%는 정부 지출 삭감 및 인원 축소 등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로존은 각국의 부양책 발표에 힘입어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독일 정부 지도자들이 대규모 국방 지출 패키지에 합의하면서 독일 채권 수익률이 상승했다.
VIX 지수는 21.77포인트로 하락했으며,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3.4% 증가했다. 10-2년물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0.295포인트로 축소되었으나, 10-3개월물은 0.017포인트로 다시 역전되었다. FedWatch는 전일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미국 소비자 심리지수 하락, 증시 전망은 강세 [Market Watch]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3월에 57.9로 하락하여 202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5년 기대인플레이션은 3.9%로 199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오펜하이머는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S&P 500이 2025년 말까지 7,10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며, 증시 강세론을 유지하고 있다.


독일 국방 및 인프라 기금 확대, 미국 증시 전망 [Bloomberg]
독일은 5천억 유로 규모의 국방 및 인프라 기금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독일의 경제 및 군사적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Bank of America는 미국 증시가 약세장보다는 조정 단계에 있다고 분석하며, 장기적인 전망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Wells Fargo는 테슬라의 목표가를 135달러에서 13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글로벌 경제 전망과 주요 시장 동향 [CNBC]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글로벌 시장은 Fed의 정책 방향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무역 긴장으로 인해 금리 인하 가능성은 불확실하다. 
이와 함께, 인도 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 압박이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다면? - 주식 공부하러 가기 (https://discord.gg/QhnNzfug)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부진한 경제지표에도 불구하고 미국 셧다운 우려가 해소되고 연이은 조정에서 투자자의 공포감이 다소 감소하면서 큰 폭으로 상승마감했습니다. 지수의 2% 이상의 상승은 긍정적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이런 흐름이 연이틀 이상 지속되어야만 투자 심리도 돌아설 수 있기에 이번주를 더욱 주목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이번주의 실적발표 중에서는 목요일에 나이키 등 기업을 지켜보고, 3월의 금리인하에 대해서 FOMC 주목해야겠습니다.
 
한국 증시는 저번주에 조정을 보였지만 여전히 강한 바닥을 형성하며 지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제는 지속 상승하는 종목보다 반도체 중심으로 재 상승이 이루어지는지가 중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주말에 있는 이슈로 원전 관련해서는 빠른 협상이 되기를 바라면서 관련주의 약세가 예상됩니다. 
이번 주도 긍정적이고 에너지 넘치게 시작하시고 행복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3월 4주차 매크로 전략



지난 주 미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발표와 함께 물가지표에 대한 우려감이 한층 해소되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트럼프 정책에 따른 등락이 반복되는 구간에서는 여전히 변동성에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미 소비자물가지수 둔화에 나스닥 1.22% 상승>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98929&ref=A
특히 이번 주는 미국 FOMC회의가 진행될 예정으로 현재 시장 전망으로는 금리 동결이 예상되면서 이번 주 FOMC회의 이후 증시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뉴욕증시] FOMC, 엔비디아 GTC에 촉각>
https://www.fnnews.com/news/202503160417377621

유가의 경우 WTI 기준 67달러로 지정학적 우려감 해소와 더불어 트럼프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큰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율의 경우 현재 달러/원 1,450원에서 횡보하고 있으나 최근 반도체를 비롯해 국내 기업들로 수급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추가적인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국내 증시의 경우 미증시 흐름 대비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반도체 업황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반도체 섹터로 유의미한 수급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FOMC 앞두고 코스피 2600선 회복할까…"반도체·유통株 주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446246

이와 함께 4분기 호실적을 보였던 방산, 조선, 전력기기, 에너지, 미용의료기기 등의 섹터도 반등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섹터의 경우 트럼프 정책 등의 수혜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계속해서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다만, 3월말 공매도 재개 스케줄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단기 조정이 나타날 수 있으나, 결국 실적주 중심으로 수급이 유입되면서 빠른 반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기에 단기 조정을 기회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역대 최장' 42일간 코스피 폭풍매수한 연기금…더 살까 그만 살까>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4158800008?input=1195m

 

'역대 최장' 42일간 코스피 폭풍매수한 연기금…더 살까 그만 살까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지난해 말부터 이어져 온 국민연금을 비롯한 연기금의 코스피 순매수 랠리가 최근 종료됐다.

www.yna.co.kr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린이를 위한 주식 공부 Start! (주식 계좌 개설 및 투자 경제지표 활용법)

 


  
[주요 일정 Check Point]

 
🗓 2025년 3월 셋째 주 증시 주요 일정 및 코멘트

17일 (월)
美) 2월 소매판매(현지시간)
넥스트레이드, 110개 종목으로 확대
엔비디아 GTC 2025 개최(현지시간)
바이오 유럽 스프링 개최
韓·中 디스플레이 관련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최종 결론
글로벌 제약바이오 네트워킹 행사 '디캣 위크'(현지시간)
엔믹스, 네 번째 미니앨범 발매
농심, 라면·과자 17종 가격 평균 7.2% 인상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DC) 개최(현지시간)
美) 3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美) 1월 기업재고(현지시간)
中) 2월 주택가격지수
中) 2월 실업률
中) 1~2월 산업생산
中) 1~2월 고정자산투자
中) 1~2월 소매판매

18일 (화)
IPC APEX EXPO(현지시간)
美) 2월 산업생산(현지시간)
AWS 유니콘 데이
美) 2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美) 2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美) 20년 만기 국채 입찰(현지시간)
유로존)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독일) 3월 ZEW 경기기대지수(현지시간)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1일차
日) 1월 3차산업지수

19일 (수)
美) FOMC 회의 발표(현지시간)
앤스로픽, '코리아 AI 빌더스 서밋' 개최
크래프톤, 인조이 글로벌 온라인 쇼케이스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유로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日) 1월 산업생산(수정치)
日) 1월 핵심기계류수주
日) 2월 무역수지

20일 (목)
美) 2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실적발표(현지시간)
美) 페덱스(FedEx) 실적발표(현지시간)
中) 3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일본 증시 휴장
이재명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회동
HLB, 美 FDA 신약 허가 최종결정 시한(현지시간)
유럽폐암학회(ELCC) 초록 공개(현지시간)
美) 3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美) 4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美) 2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美) 나이키 실적발표(현지시간)
독일)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영국) 영란은행(BOE) 기준금리결정(현지시간)
영국) 1월 실업률(현지시간)
대만) 중앙은행 기준금리결정

21일 (금)
美)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현지시간)
삼성디스플레이-BOE '영업비밀' 분쟁 예비결정(현지시간)
2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유로존) 1월 경상수지(현지시간)
영국) 2월 공공부문 순차입/순상환(현지시간)
영국) 3월 GFK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中) 2월 외국인 직접 투자

👉 일정 코멘트
1. 엔비디아 GTC 2025 행사 관련 반도체, 로봇 등 업종으로 수급 유입 이어지는지 체크해볼 필요
2. 추가로 재무부의 채권발행 또한 계속 이어질 예정인만큼 주가지수의 상승보다는 하락 가능성에 무게(통상 채권 입찰 시기는 채권수요 강세로 주식으로 수급 약화)
3. 끝으로 금요일 미국 네 마녀의 날, 그리고 BOJ와 FOMC 등 매크로변수도 상존해있는 상황인 만큼 보수적 대응 전략 유지 필요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미국 증시 #미국 시황 #아침 시황 #쵸빗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