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상 3

BOJ통화정책 이후 매크로 변화에 따른 투자 방안 고찰

BOJ통화정책 이후 매크로 변화 ㅡ 단기 변동성나오지만, FOMC 이후 좋아질 것 1.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 발표 일본은행이 금리 정책에 조금씩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하고, 기존의 -0.1%에서 0.0~0.1%로 10bp의 인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추가 인상에 대한 명확한 가이던스는 아직 없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추후에 추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YCC(이자율 곡선 조정) 정책 폐지 공식화 일본은행은 YCC(이자율 곡선 조정) 정책의 폐지를 공식화했습니다. 이는 10년물 수익률 목표치를 제거하고, 초과지준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0.1% 금리를 적용하게 됩니다. 3.국채 매입 규모는 유지되나 일부 조정 예정 국채 매입 규모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되,..

매크로 경제 지표 전망 분석(모건 스탠리 글로벌 보고서) - 3(최종)

저번 2편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고, 모건 스탠리에서 지금 경기 침체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제는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혹시 전편을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보시고 오시면 좋을 듯 합니다. https://korimhjs.tistory.com/267 이 부분에 대해서 골드만삭스는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 기간 프리미엄이 장기 평균보다 훨씬 낮다. 위 그래프를 보면 10년물 기간 프리미엄이 2012년도 이후부터 평균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했고, 지금은 훨씬 낮은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장기금리의 기간 프리미엄이 현재 낮은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뉴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이며 전 연준의장 이..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7(금)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7.07(금)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고용이 엄청 강하다는 서프라이즈 한 수치가 나오면서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5.1%까지 상승하는 등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보이며 모든 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한국 증시는 전일 외국인, 기관 연속 매도로 인해 시장하락으로 마감하였고, 큰폭 상승을 보였었던 코스닥은 -2% 이상 하락하며 반도체, 2차전지 최근 급등 종목의 차익실현 매물이 출현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들은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등 순매소 기조는 지속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 조선 기자재 등 실적 기대 종목은 상승하였습니다. 오늘의 이슈로는 미국 6월 고용보고서(실업률, 임금상승률 등)가 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2분기 잠정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