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정보방/주식 시황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6.07(수)

쵸빗 2023. 6. 7. 08:39
반응형

 

미국 주식 아침 시황 2023.06.07(수)

 

안녕하세요. 쵸빗입니다.

 

미국 증시는 최근 랠리를 지속하며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6월은 금리 동결 가능성이 커졌고, 부채 협상 후 다시금 양적안화 가능성으로 채권 금리 상승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화요일 미증시의 고점에 따른 수익실현 등으로 하락을 보였으나 다시금 상승을 보여주며 강한 장세를 연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애플은 신고가를 갱신하고 하락하는 등 계속 빅테크 중심의 상승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테슬라 등 그 랠리에 조금 뒤쳐져 있던 종목들도 키 맞추기 상승을 등을 보이는게 특징인 것 같습니다.

채권 금리는 상승하며 달러지수도 상승하였으나,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여 1,300원 아래로 내려온 부분이 금일 특징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장에 외국인의 수급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지 체크가 필요해 보입니다. 외국인은 지난주 4거래일 동안 약 1.25조원 수매수를 하였고, 올해 동안 약 14조원 누적 순매수를 기록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암호화폐 관련하여 큰 이슈가 있었는데 미국 SEC가 바이낸스의 CEO에게 고발과 관련하여 휴일 동안 급락을 하였고 이내 다시 반등하여 폭락전 가격으로 다시 올라왔습니다.

다음주에 CPI 및 FOMC가 있어서 이번 주는 혼조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니 이에 맞춰서 대응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시고 힘차게 시작하세요~

 

Invest with LOVE~!


[선물 및 VIX 지수]

CBOE VIX : 13.96(-5.23%)

US30 : 33,570.9(+0.02%)

US500 : 4,286.0(+0.29%)

US Tech 100 : 14,565.2(+0.06%)

US 2000 : 1,852.0(+2.51%)

 

[MSCI 한국지수 / EWY]

MSCI South Korea Cap : 65.70(+0.88%) 폐장 후 : 65.99(+0.44%)

 

[미증시 당일 종가 안내]

다우존스 : 33,573.28(+0.03%)

S&P500 : 4,283.85(+0.24%)

나스닥 : 13,276.42(+0.36%)

 

[일간 지표 등락율]

비트코인 $27,028.0/+5.27%, 이더리움 $1,878.62/+3.96%

달러인덱스 104.105/+0.16%, 달러/원 1,299.18/-0.03% 달러/엔 139.65/+0.01%, 유로/달러 1.0695/+0.02%

금 1,979.35/-0.02%, 은 23.668/-0.04%

WTI유 71.45/-0.97% 천연가스 2.259/+0.62%


[경제지표 발표]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예상치 하회 (실제 54.3 / 예측 54.5 / 이전 53.4)

미국 ISM 비제조업구매자지수 예상치 하회 (실제 50.3 / 예측 51.8 / 이전 51.9)

 


화요일, 미국 증시는 S&P 500의 최근 랠리가 금융주로 전환되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Apple Inc.의 주가 하락은 기술주 랠리를 약화시켰지만, 벤치마크 지수는 0.2% 상승하였으며, 그동안 하락세를 이어갔던 지역 은행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KBW Regional Bank 지수는 5.4% 상승하고, Russell 2000 지수는 2.7% 상승했습니다.

 

S&P 500은 추세적 강세장으로 진입하기 직전에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시장이 인공 지능의 과대평가에 너무 빨리 달려드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여전히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감돌고 있습니다.

 

다수의 섹터가 상승세를 보이며, 특히 금융섹터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헬스케어 섹터는 약세를 나타내었고, 테크 섹터는 약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항공 및 유통 업종과 수소에너지 관련주들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Russell 2000 지수는 기술주 중심의 Nasdaq 100 지수를 3일 만에 두 번째로 최소 2.5% 포인트 앞섰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2020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일입니다.

 

세계은행은 화요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급격한 금리 상승이 경기 활동을 압착하고 저소득 국가의 취약성을 악화시키며 세계 경제가 위험에 처해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러한 우려로 인해 주식시장에 압력이 가해졌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상태이며, 거래자들은 연준이 6월 회의에서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향후 인상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VIX 지수는 13.96포인트로 다시 하락하였고,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4.39%로 증가했습니다. 10-2년 국채금리 스프레드는 -0.82포인트, 10-3개월 국채금리 스프레드는 -1.64포인트로 벌어졌습니다. FedWatch는 6월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치를 80% 이상 반영하고 있습니다.

Fear & Greed Index는 전일대비 9 상승하며 탐욕(74)에 있습니다.

 

[금일 주요 기사]

- CNBC -

골드만,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 35% → 25%로 하향

'월가 공포 지수' VIX 13.96 ··· 3년래 최저

호주은행, 0.25%p 금리인상 단행 ··· 2012년 이후 최고

- BABRONS -

"미국 증시, 은행규제 강화 영향 낮아"

독일 4월 제조업 수주, 전월비 0.4%↓ ··· 예상치 대폭 하회

SG "ECB, 9월까지 금리인상 지속 가능

- abc NEWS-

애플 CEO "비전프로, 애플 전환점 예상"

번스타인 "애플 MR 헤드셋, 상업적 성공까지 오래 걸려"

BMO, 올해 S&P500 전망치 4,550으로 상향 조정

- WSJ -

WB, 올해 세계성장률 1.7% → 2.1%로 상향

미국 SEC, 바이낸스 이어 코인베이스 기소

JP모간 "미국 연준,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 낮아"

 

[금일 주요 이슈]

1. 중국 증시(경기), 리오프닝 실망 딛고 하반기 반등 가능성

- 리오프닝 기대감 반등 후 실망스런 경기 회복으로 재 하락

: 중국 위안화 약세 되며 외국인 순매도 (5월 월간 -3.6% 하락)

2. 세계은행 글로벌 성장률 수정

- 올해 1.7% → 2.1%로 상향 / 미국 0.5% → 1.1%로 상향

(다만, 기준금리 급등, 전쟁 장기화로 내년까지 경기 위축 전망)

3. 주요국 기준금리 인상 '스킵'으로 시장 기대 안화

- 6일 호주 기준금리 깜짝 인상 0.25% 인상으로 4.1% (최저 임금 인상 / 4월 인플레 상승)

→ 중앙은행들의 시장 피봇 기대치 완화 성공적 진행

4.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 외국인 규제 해소 (이데일리)

- 금융위, 자본시장 규제 혁신 추진

(5일 국무회의에서 시행령 의결 → 13일 공표 → 12월 14일 시행)

5. 애플 헤드셋 '비전프로' 발표 (애플 연례 개발자 회의)

- 팀 쿡 "AR로 공간 컴퓨팅 플랫폼" 시대 / $3,499

→ 현재는 가까운 미래에 소비자 가전 분야의 차세대 스타 제품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미래 XR 헤드셋의 희망이다.


 

 

📌2023년 06월 07일 수요일 주요 일정

 

✅ 국내

 

✔️추경호 부총리, 경제 규제혁신 TF (기재부)

✔️세계은행(WB) 세계경제전망 발표 (OECD 6월 세계경제전망)

✔️이창양 장관, 한국-이스라엘 경제포럼 (산업부)

✔️국내 방산, 폴란드 수출 초도물량 출고식 (산업부)

✔️서울시 시내버스 및 공항버스 수소차 업무협약 (환경부)

✔️ENVEX 2023(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 개막식 (환경부)

✔️스타트업 기술탈취 대책 민당정 협의회 (중소벤처기업부)

✔️한농대, 반려동물-푸드테크 교육과정 도입 (농식품부)

✔️2023년 국제 해양사고조사 워크숍 개최 (해수부)

✔️금융위원회 회의 (금융위/한국은행)

 

📝신세계그룹 유니버스 클럽 런칭

📝국제해양방위산업청(MADEX) 개최

📝이스라엘 외무부 장관 방한

 

 

✅ 해외

 

🇦🇺호주 GDP (1분기)

(한국 시간 : 06월 07일 10시 30분)

 

🇨🇳중국 수출액/수입액 (5월)

(한국 시간 : 06월 07일 12시 00분)

 

🇨🇳중국 무역수지 (5월)

(한국 시간 : 06월 07일 12시 00분)

 

🇨🇭스위스 계절조정실업률 (5월)

(한국 시간 : 06월 07일 14시 45분)

 

🇩🇪독일 산업생산 (4월)

(한국 시간 : 06월 07일 15시 00분)

 

🇧🇷브라질 소비자물가지수 (5월)

(한국 시간 : 06월 07일 21시 00분)

 

🇺🇸미국 원유재고

(한국 시간 : 06월 07일 23시 30분)

 

 


 

미국주식, 미국주식시황, 아침시황, 주식시황, 쵸빗시황, 비트코인, 암호화폐, 주식투자,FOMC, 채권, 달러, 환율, 자유지성, 한국경제, 멘탈이전부다, 삼프로, 증시각도기, 퀀트K

반응형
View My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