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2025.04.11(금) 쵸빗의 미국 주식 아침 시황 및 경제기사
📈 주요 경제지표 종합 📉

[금일 주요 경제 소식]
미국 3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 2.4%로 예상밖 둔화... 4년만에 최저
미국 주간 신규실업청구건수 22.3만명... 예상치 부합
백악관 "중국에 대한 누적 관세 145%로 정정"... '펜타닐' 20% 추가
📝 주요 경제동향 요약
미·중 무역 긴장 고조…글로벌 자산 시장 다시 하락 전환
[뉴욕, 10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전날 급등했던 주식, 달러, 유가가 모두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경기 순환 자산들은 수년 만에 최대 매수세를 기록한 지 하루 만에 급락했다. 투자자들은 양국 간 갈등이 기업 실적과 경제 성장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며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S&P500 지수는 -3.5% 하락하며 큰 폭의 조정을 보였고, 달러는 10월 이후 최저치로 폭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Nasdaq100 지수는 -4.3%,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2.5%,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4% 떨어졌다. 주요국 ETF 역시 대부분 하락 마감했으며, MSCI 한국지수는 -2.74%, 야간선물은 -2.06%로 마감하며 전일 상승폭을 반납했다.
기업들 역시 대응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Apple은 중국을 피해 인도에서 미국으로 아이폰 출하량을 늘리고 있으며, 인도 시장에 대한 추가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문이 전해졌다. Amazon은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사전 재고 구매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중국 간 무역 협상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이 감지됐다. EU 무역 담당자와 중국 상무장관은 중국산 전기차 수입에 대해 관세 대신 최저 가격을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미국 채권 시장에서도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목요일 발행된 30년 만기 국채는 채권 가격 상승세를 촉발하지 못했으나, 높은 변동성 속에서 안전자산으로서 채권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기간 연장 가능성을 언급하며 중국과의 협상 의지를 내비쳤지만, 백악관이 대중국 관세를 145%로 인상한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은 급격히 불안감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무역 전쟁 격화는 세계 경제 성장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세계 무역 둔화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도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주문을 중단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공격적인 대중국 무역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목요일 발표된 물가지표에 따르면 3월 미국 물가상승률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으나, 이는 관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전 데이터로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호텔 숙박비와 항공료 등 서비스 가격 하락은 소비자들의 재량 지출 감소를 경고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연방준비제도(Fed)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공격적인 무역 정책이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은 금리 조정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정부 정책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40.86포인트로 상승했으며,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4.37%로 축소됐다. 국채 금리 스프레드 역시 확대되며 10-2년물 스프레드는 0.572포인트, 10-3개월물은 0.102포인트를 기록했다. 한편, FedWatch는 연내 세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
* 다음은 주요 외신 기사 요약이다.
미국 물가 둔화와 EU의 철강 관세 보복 유예 [Market Watch]
미국 3월 소비자 물가(CPI) 상승률은 2.4%로 예상치를 하회하며 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2월의 2.8% 상승률에서 크게 둔화된 것으로, 경제학자들이 예상한 2.5%보다 낮았다. 물가 둔화는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 압력을 다시 높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같은 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 청구 건수는 22.3만 건으로 시장 예상치와 부합했다. 이는 아직 노동 시장이 여전히 견고함을 시사한다.
한편, 유럽연합(EU)은 미국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를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관세를 유예한 것에 대한 화답으로, 양측 간 무역 긴장 완화를 위한 신호로 해석된다.
연준 총재들, 관세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표명 [Bloomberg]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 제프 슈미드는 관세가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세로 인해 고용과 경제 성장 전망의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댈러스 연은 총재 로리 로건은 관세 수준이 예상보다 높아질 경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모두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녀는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이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고착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시카고 연은 총재 찰스 에번스는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을 야기할 수 있다며, 이는 경제 성장 둔화와 높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백악관의 대중국 관세 강화와 글로벌 기업 대응 [CNBC]
백악관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누적 관세를 145%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 125%에서 추가된 것이며, 펜타닐 문제와 관련된 20% 추가 관세도 포함된다. 이 같은 조치는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더욱 격화시키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압박에도 불구하고 대외 개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BMW는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검토 중이며, 이는 높은 관세 부담을 완화하고 리쇼어링 효과를 노린 전략으로 보인다.
*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의 책임이며,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제공된 정보는 참고용일 뿐, 재정적인 조언이 아닙니다.
[Comment]
미국 시장은 큰 폭의 상승 이후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정책이 과열되는 것에 대한 우려와 채권 가격 하락이 지속되며 달러 자산의 매각 효과로 주식 또한 큰 폭의 하락을 맞이하였습니다. 중국이 미국 채권을 매각하는게 아니냐는 루머가 나왔지만, 현재 일본도 미국 채권을 매도하는 양상이 보이며 장기채권 금리는 큰 폭의 상승을 보였고 이에 따라 달러지수의 하락과 더불어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보이며 $3200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고 경기침체를 확실시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변동성이 큰 주식 시장이 당분간 지속되리라 보여집니다.
국내증시도 이 영향으로 전일 좋았지만 관세에 영향을 피하지 못하는 반도체, 바이오, 자동차 등의 주가 대부분의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조선, 방산을 중심으로 미국과 전략적 제휴가 가능한 섹터만 다소 양호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오늘의 증시 하락에서 반등이 나오는지 외국인 포지션이 어떻게 될지 지켜보며 향후 대응 방안을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너무 변동성이 커서 어려웠던 한 주가 이제 지나가고 있지만 아직 끝나지 않는 이슈이기에 조심하시면서 편안한 주말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nvest with LOVE~!
[주식 시작하는 주린이를 위한 주식 강의 Start - 계정 개설 부터 경제지표 보는 방법까지]
유투브 강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xuxmdyRKHQ
[주요 일정 Check Point]
[금일 주요 경제 기사 헤드라인]
📝Daily News - 04/11(금)
🗞 #반도체/#디스플레이/#IT
✅美, 엔비디아 中 수출 규제 풀어…韓 메모리 한숨 돌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HBM3E 대결: 삼성, 4월 8H 대량 공급 목표… 마이크론, 열 관리에서 12H 승리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
✅SK하이닉스 엔비디아 GDDR7 뚫어, 곽노정 HBM 이어 그래픽D램 끌어올린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
✅삼성, 2nm 공정 수율 40% 달성...TSMC 바짝 추격
https://m.g-enews.com/view.php?ud=202...
✅삼성 '폴드·Z플립 7' 5월부터 양산···'엑시노스2500' 탑재가 관건 [biz-플러스]
https://v.daum.net/v/20250411073451979
✅챗GPT, 새 기능 추가…대화 내용 기억해 개인화된 답변 제공
https://v.daum.net/v/20250411072502806
✅아마존 CEO “판매자가 관세 비용 전가할 수도”…가격 인상 가능성 시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애플 폴더블폰 출시, 접히는 아이패드도 함께 나오나 [모닝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TSMC 만난 최태원…'AI칩 삼각동맹'으로 HBM왕좌 사수 [biz-플러스]
https://m.sedaily.com/NewsView/2GRHAJ...
✅TSMC, 1분기 매출 전년비 41.6%↑…"장기적 수요 둔화 우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자동차/#2차전지/#로봇/#기계
✅BMW, 독일 공장 294대 로봇 신규 설치
http://m.irobotnews.com/news/articleV...
✅미래에셋증권 “삼성SDI, 분할 매수 용기가 필요한 구간”..‘매수’ 유지
http://kpenews.com/View.aspx?No=36102...
✅현대차, 캐즘·美관세에 '1조원 투자' 하이퍼캐스팅 도입 연기[biz-플러스]
https://m.sedaily.com/NewsView/2GRHA7...
✅코스닥 상장 출사표 '원일티엔아이' "차세대 기술 'H-ESS' 상업화 나서"
https://m.newspim.com//news/view/2025...
✅SKIET, 북미 전기차 시장서 30만대 분리막 공급 계약 체결
https://www.newsroad.co.kr/news/artic...
✅K-동박도 美 관세 영향권···동남아 생산기지 재편하나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
✅BMW, 트럼프 관세 압박에 美 현지생산 확대 검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테슬라, 사우디아라비아 사업 개시…"온라인 주문 서비스 도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소비재/#유통/#엔터/#게임/#레저
✅IPO도, 매각도 어려운 카카오엔터…‘주주간계약’ 신경 쓰이는 카카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
✅[美 관세 폭탄] 90일 유예에 잠시 숨통…K뷰티, 향후 전략 '고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우주/#방산/#조선/#에너지/#바이오/#철강/#화학
✅FDA, 동물실험 규제 단계적 폐지 계획 발표 후 헬스케어 기술주 급등
https://www.benzinga.com/government/r...
✅HD한국조선해양, 연결 자회사 가파른 이익 성장 기대…목표가↑-SK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신사업 확장하는 한화에너지…친환경 LNG 전환 본격화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
✅GSK 손잡고 '잭팟' 에이비엘바이오, 이번엔 유한양행과 항암신약 기대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한화에어로, 고강도 원가 절감 성과 크지만 동반성장 과제로
https://thelec.kr/news/articleView.ht...
✅'관세 유예' 가슴 쓸어내린 K-전력기기 "韓·美 생산시설 증설 박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트럼프 "US스틸, 일본에 매각 어렵다"…조선업도 재건 의지
https://m.mt.co.kr/renew/view.html?no...
✅주미대사, 美백악관 조선 담당 참모 만나 한미협력 강화 논의
https://v.daum.net/v/20250411072131771
✅美 관세에 대응할 韓 비장의 카드는 조선·LNG…비관세 장벽 개선도 협상카드
https://m.mk.co.kr/news/economy/11288640
✅트럼프 "최첨단 선박, 타국에 발주해야 할 수도"…韓 조선업 기회오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
✅한국 주식 팔아치우더니…돌아온 외국인들 쓸어담은 종목 [종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
✅"이자도 못 갚는다" 매출 1조 건설사도 10곳
https://cm.asiae.co.kr/article/202504...
✅100년 당뇨 혁신 집약…노보노디스크 '주 1회 인슐린' 시대 개막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
🗞 #사회/#정부/#부동산/#일반/#기타
✅[단독] CEO 된 전업주부들 부러웠는데…1시간마다 1곳 폐업 '대참사'
https://n.news.naver.com/article/015/...
✅이재명, 국회서 집권 비전 발표…'K이니셔티브' 구체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관세 불확실성 지속 여파로 국제 금값 최고치 경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 #해외
✅美증시, 미·중 무역갈등 고조에 폭등 하루만에 급락, 나스닥 4%↓…국제유가도 폭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美 백악관 "대중관세는 125% 아니라 145%"…中 "존중해야 협상"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
✅중국 언론 "EU 정상들 7월 말 베이징행..시진핑 만날 것"
https://m.mt.co.kr/renew/view.html?no...
✅[부자들의 투자노트] 레이 달리오 "美 경기침체 가능성 높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IT썰] 알트먼vs머스크 '전쟁 격화'…오픈AI "악의적 행위 중단" 소송
https://m.mt.co.kr/renew/view.html?no...
✅트럼프코스터 탄 美증시 ‘현기증’…매그니피센트7 또 미끄러졌다 [투자36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미-러 2차 회담, 6시간 만에 종료…공관 운영 정상화 등 논의(종합)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
✅美 3월 CPI, 전년比 2.4% 올라 '4년 이래 최저'…트럼프 관세는 변수
https://cm.asiae.co.kr/article/202504...
✅EU, 美철강관세 보복 90일 보류…트럼프 조치에 화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최악의 자해' 트럼프 직격한 옐런…"美 국채 투매에 관세 유예"
https://cm.asiae.co.kr/article/202504...
✅트럼프, 푸틴과 관계 정상화 속도..."우크라이나 종전도 곧 성과"
https://v.daum.net/v/20250411064623110
✅중 수출 제조업 '직격탄'…"할리우드 제한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핵 협상 앞둔 美, 中시설 포함해 새 이란 원유망 제재 발효
https://v.daum.net/v/20250411062033775
✅美 "15개국 관세협상 제안"…EU·中 대응 온도차 [글로벌 뉴스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
✅관세 핵폭탄 떨구고 “시진핑, 전화주면 만날 것”…中에 브레이크 밟으라는 트럼프
https://m.mk.co.kr/news/world/11288621
관세 핵폭탄 떨구고 “시진핑, 전화주면 만날 것”…中에 브레이크 밟으라는 트럼프 - 매일경제
美, 중국만 125% 관세 부과 보복의 악순환에 빠진 G2 트럼프 “확전은 생각 안해” 中, 84% ‘맞불 관세’ 발효 “美 괴롭힘에 계속 강력대응” 125% 맞선 추가 보복 주목 전문가 “변덕스러운 정책
www.mk.co.kr






